사과·배 등 과수재배 농가들에 대해 과수화상병의 선제적 차단의 중요성이 대두 되고 있다.
전국 사과생산의 14.7%를 차지하는 영주시는 국내 최대 사과 생산지로 과수농가와 시는 과수화상병에 대한 선제적 대처를 위해 적극 나서고 있다.
과수화상병은 꽃이 피는 시기인 개화기에 감염이 집중되는 세균성 병해로 국내 과수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하는 주요 재해 중 하나다.
시는 지난 달 21일까지 국·도·시비 등 총 20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과수화상병 방제약제 5종을 관내 사과·배 3500농가에 무상 공급했다.
시는 개화 전 1회, 개화기 2회, 생육기 2회 등 총 5회에 걸친 약제 살포를 농가에서 철저히 실천해줄 것을 당부하고 현지 점검을 실시할 계획이다.
개화기 방제에 사용하는 항생제는 꽃이 피기 시작할 무렵부터 전체 꽃의 약 40%가 개화했을 때 1차로 살포하고 이후 5일 뒤 동일한 항생제를 2차로 추가 살포해야 한다.
시는 농촌진흥청 방제 지침에 따라 개화기 중 2회에 걸쳐 집중 방제 실시와 이를 위해 살균제를 사전에 공급하고 농가에 방제 요령과 일정이 담긴 안내문도 배포했다.
영주시는 이번 개화기 방제 외에도 과수화상병 예방을 위한 다각적인 대응책을 병행 추진하고 있다.
시가 효율적 방제 운영을 위해 농가 교육과 전염원인인 월동궤양 제거, 예방 실천사항 안내 외에도 전문 예찰요원을 선발해 의심지역에 대한 현장 및 전화 예찰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
기술지원과 최수영 과장은 “과수화상병은 한 번 발생하면 방제가 어렵고 피해 규모가 커 예방 중심의 철저한 방제가 중요하다”며“농가에서는 권장 약제를 사용해 개화기 방제 시기를 놓치지 말고 반드시 살포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시는 관내 10개 읍·면·동에 기상관측장비를 설치하고 과수화상병 예측시스템을 도입해 농가에 감염 위험 시기와 약제 살포 적기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김세동기자 kimsdy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