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최다 3643회 출동···전문의 탑승 현장 진료 체계 구축
안동의료재단 안동병원이 운용하는 응급의료 전용헬기, 이른바 ‘닥터헬기’가 올해로 출범 12주년을 맞았다.
안동병원 ‘닥터헬기’는 2013년 7월 4일 첫 비행을 시작한 이래 지난 12년간 4457회 출동 요청을 받아 실제로 3643회 출동해 3458명의 중증응급환자를 이송하며 전국 최다 출동 실적을 이어가고 있다. 이 같은 기록은 단순한 숫자를 넘어 지역 응급의료 체계의 실질적 성과를 상징한다.
닥터헬기는 중증응급환자의 사망률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도입됐다. 2023년 5월 31일에는 전국 최초로 3000회 출동을 돌파하며 주목을 받았다. 이후에도 ‘하늘을 나는 응급실’이라는 별칭에 걸맞게 활약을 이어가며 현재까지 전국 최다 출동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이송 환자 분석 결과,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중증외상 환자(843명, 24.3%)였다. 이어 응급 뇌질환(749명, 21.6%)과 심장질환(493명, 14.2%)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질환은 모두 골든타임 내 신속한 처치가 생사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분야다. 이는 닥터헬기의 조기진입과 병원 전 단계 처치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방증한다.
이송 환자 중 68%는 60대 이상 고령층이었으며, 남성이 전체의 61.6%로 여성보다 다소 많았다. 특히 70대 이상 환자만 1646명에 달해 고령화 사회에서의 응급이송 수단으로서 닥터헬기의 필요성이 더욱 부각된다.
출동 지역은 영주(763건), 문경(511건), 봉화(436건) 등 경북 북부 내륙지역이 중심을 이뤘지만 대구와 강원 태백, 충북 단양 등 인접 시·도까지 아우르며 광역응급의료 허브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하고 있다.
김권 권역응급의료센터장은 “닥터헬기는 경북 어디든 4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어 중증응급환자에게 골든타임을 확보해준다”며 “환자 생존률 향상은 물론, 예방 가능한 사망률을 크게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말했다.
강신홍 이사장은 “닥터헬기뿐 아니라 권역응급의료센터, 권역외상센터 등 응급의료 인프라를 바탕으로 지역 생명안전망을 더욱 촘촘히 구축하겠다”며 “2025년 경주 APEC 정상회의 협력병원으로서 국가적 재난 상황에도 철저히 대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안동병원이 운용 중인 닥터헬기는 AW-109 기종으로, 시속 최대 311km의 속도로 비행하며 기도삽관기, 인공호흡기, 응급초음파기, 제세동기 등 첨단 응급의료 장비를 탑재하고 있다. 항공의료팀은 전문의 13명, 응급구조사 4명, 간호사 4명, 운항팀 9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출동 시 전문의가 직접 탑승해 하늘 위에서도 응급진료가 가능하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