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中企 절반 “中 이커머스 긍정적… 위기이자 기회”

김재욱기자
등록일 2025-04-03 19:47 게재일 2025-04-04 6면
스크랩버튼
중기중앙회 300개사 의견 조사<br/>활용 중 29.7%·추후 이용 21%<br/>65% “국내시장 점유율 확대 위해”
일반 개인은 물론 중소기업까지 중국 이커머스의 이용이 확대되고 있다. /클립아트코리아 제공

중소기업 절반 가량이 중국 이커머스(Electronic Commerce)를 활용하거나, 향후 활용할 예정인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일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기업(제조업·유통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국 이커머스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의견 조사’ 결과에 따르면, 중국 이커머스를 활용 중인 기업은 29.7%, 활용 경험은 없으나 추후 활용 의사를 밝힌 기업은 21.0%로 나타났다. 또 활용 경험 및 향후 활용 계획도 없다는 질문에는 49.3%로 응답했다.

중국 이커머스 활용 방식에 대해서는 중국 이커머스에 입점해 국내 시장 점유율 확대(65.2%), 중국 이커머스에서 제품 구매 후 국내 재판매(병행수입)(11.2%), 중국 이커머스를 통해 원자재 또는 부품 조달(6.7%) 등의 순을 보였다.

국내 진출이 미친 영향에 대해 긍정적이라는 응답이 24.7%로 부정적(15.3%)보다 높았고, 변화없음은 60.0%로 나왔다.

긍정적 영향을 미친 이유로는 국내외 온라인 판매 채널 다변화(47.3%)가 가장 많았으며, 기존 유통망 대비 입점 수수료 절감(16.2%), 비용 절감(원자재 조달, 물류 배송비 등)(14.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부정적 영향을 미친 이유는 자사 제품 가격 경쟁력 저하로 소비자 이탈(45.7%), 국내 기업의 브랜드 가치 하락(가품 등)(19.6%), 무관세·무인증 등 역차별 피해(17.4%), 마케팅 비용 증가(8.7%) 등으로 드러났다.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 확대에 대한 대응 전략은 특별한 대응 전략 없음(63.7%), 국내 이커머스 플랫폼 활용 확대(10.3%), 차별화된 제품 개발(프리미엄 전략 등)(9.0%), 가격인하(8.7%) 등으로 나타났다.

중국 이커머스 국내 진출에 대한 향후 전망에 대해서는 긍정적 응답은 28.3%로 부정적(26.0%)보다 높았고, 변화없음은 45.7%로 답변했다.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진출에 대한 최우선 지원 정책으로는 중국 이커머스 입점 업체 대상 인증·검사 강화(34.7%), 국내 이커머스 입점 기업 지원(수수료 인하 등)(32.3%), 해외 직구 제품의 통관 및 품질 검사 강화(26.3%), 특허·상표권 등 지식재산권 침해 제재 강화(23.0%), 물류 경쟁력 강화(물류비 지원 등)(21.7%) 순으로 이어졌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이번 조사 결과로 중국 이커머스가 중소기업에 새로운 위기이면서 기회가 되고 있다”며 “중국 이커머스의 국내 영향력이 점차 확대될 가능성을 고려할 때, 중소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해 품질 인증과 검사, 지적재산권 보호를 선제적으로 강화하고, 중소기업이 새로운 유통 환경에 적응할 수 있도록 이커머스 입점 지원과 물류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도 확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