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언제쯤 일상으로 돌아가나” 길어지는 대피생활 피로감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5-04-02 22:49 게재일 2025-04-03 2면
스크랩버튼
피해 규모 광범위 응급 복구 더뎌<br/>터전 잃은 이재민들 수천 명 달해<br/>임시거처 마련 적잖은 시일 소요

지난달 22일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안동·영덕 등 경북 4개 시군으로 확산한 뒤 5일이 지났으나 이재민의 대피 생활은 길어지고 일상 회복은 더디기만 하다.

피해 규모가 워낙 광범위해 피해조사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려 본격적인 응급 복구는 시작도 못 하고 있다. 이재민이 수천 명 발생하면서 이들이 새로운 터전을 마련할 때까지 임시로 거주할 공간을 마련하는 데도 적지 않은 기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2일 경북도와 각 시군에 따르면 전날 기준으로 이번 산불에 소실된 주택은 3766채이다. 산불로 대피했다가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주민은 3318명에 이른다. 이재민들은 길게는 열흘 이상 체육관 등 대피 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

당국은 이들을 위해 컨테이너 하우스 등 임시 주거시설 마련에 힘을 쏟고 있지만, 많은 물량 확보와 설치 장소 기반 공사 등에 길게는 한 달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 이 때문에 고령인 이재민들은 긴 대피 생활로 심신이 지쳐가고 있다.

당국은 어르신들의 건강관리와 기본적인 물품 지원 등을 강화하고 있다. 화마가 주택을 비껴가 그나마 사정이 나는 주민은 농사 준비에 나서지만, 들녘과 산림작물 재배지, 농기계 등이 불에 타 어려움을 겪는다.

농작물 4000여㏊에서 피해가 났고 시설하우스 364동, 축사 212동, 농기계 5506대가 불에 탔다.

중앙부처와 각 지자체는 피해지역 생활 안정을 돕기 위해 지원센터를 운영하고 농기계를 추가 확보해 무상 임대하는 등 전력을 쏟고 있다.

행정안전부는 경북도 등과 산불 피해 수습과 피해자 지원, 이재민의 일상 복귀를 위해 안동체육관에 중앙합동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재난특교세도 추가로 긴급 지원하기로 했다.

이재민 등 피해지역 주민들에게는 전국에서 쇄도하는 온정이 큰 힘이 되고 있다. 산불 피해지역에서 750여명이 현재 자원봉사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누적 참여 인원은 8000명을 넘어섰다.

의료구호 세트와 담요, 의류 등 대피 생활에 필요한 물품도 연일 도착하고 있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