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5개 시·군에 천문학적 피해<br/>사망 26명·건물 3369채 불에 타<br/>대피 3만4816명 중 3773명 남아<br/>1만여명 자원봉사·성금 550억원<br/>경북도, 긴급주거시설 공급 예정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등 경북 북동부 5개 시·군을 태풍급 속도로 강타한 대형 산불이 발생 149시간 만에 완전히 진화됐다.
<관련기사 2·3·4·5·7면>
이번 산불은 서울 면적의 3분의 2에 달하는 산림을 태워 천문학적인 피해를 남겼고 피해지역 주민들의 일상 복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전망된다.
고기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 본부장(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30일 “지난 21일부터 경남과 경북도 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산불은 총력 대응 끝에 주불을 모두 진화했다”고 밝혔다.
고 본부장은 이날 경북도 재난안전상황실에서 주재한 중대본 회의에서 이같이 공식 발표하고 “이번 산불은 인명과 재산 피해 모두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중대본은 지난 22일 의성에서 시작한 경북 산불이 일주일만인 지난 28일 주불을 완전 진화했다고 발표했지만 산불영향 구역이 워낙 광범위해 잔불 정리에도 시간이 걸리고 있다.
지난 22일 오전 11시 25분쯤 경북 의성군 안평면·안계면 2곳 야산에서 시작된 경북 산불은 초속 10m가 넘는 강풍을 타고 북동부권 4개 시·군으로 확산했다. 강풍과 고온, 건조한 기상 조건이 맞물려 산불은 바싹 마른 나무와 낙엽을 따라 급속도로 번졌다.
특히 이번 산불은 한때 초속 27m의 강풍을 타고 역대 최고치인 시간당 8.2km 속도로 확산하며, 최초 발화지에서 80km 떨어진 동해안 영덕까지 피해 범위가 확대됐다.
산림 당국은 산불 발생 후 대응 3단계를 발령하고 매일 진화 헬기와 인력, 장비 등을 대거 투입해 주불 진화와 국가주요시설, 민가, 문화유산 주변 방화선 구축에 총력을 기울였다. 그러나 불리한 기상 여건과 현장 진화대원 피로 누적, 진화 헬기 추락 사고 등으로 진화 작업은 난항을 거듭했다.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 2~3km 앞까지 불길이 접근하는 아찔한 위기 상황도 발생했다.
상황은 지난 27일 오후부터 극적으로 반전됐다. 의성·안동·청송·영양·영덕 5개 시·군에 1~2mm의 비가 내리면서 산불 확산 속도가 둔화됐고, 진화 헬기 운용에 장애가 되던 연무도 감소했다. 27일 오후 5시 기준 63%에 머물렀던 진화율은 28일 낮 12시 기준 94%까지 상승했다.
경북 산불의 영향구역은 28일 오전까지 4만5157㏊로 집계돼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서울 면적(6만 520㏊)의 약 3분의 2에 해당한다. 향후 정밀 조사에 따라 피해 범위는 더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인명 및 재산 피해도 심각했다.
안동, 영덕 등에서 주민 등 26명이 사망했고, 이날 기준 주택 등 시설 피해는 3369채로 집계됐다. 아직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대피소 118곳에 생활하는 이재민이 3773명에 이른다. 이번 산불로 모두 3만4816명이 대피했다가 3만 1043명이 귀가했다.
이번 산불사태가 발생한 뒤로 29일까지 약 1만여명의 자원봉사자가 피해 수습과 이재민 지원에 참여했다. 전국재해구호협회 등을 통해 약 550억원의 성금도 모금됐다.
경북도는 고령인 이재민들이 단체 생활을 해야 하는 대피소에서 나와 생활 터전 가까이에서 거주하도록 이날부터 긴급주거시설로 모듈러 주택 100동을 설치해 희망자에게 신속하게 공급할 예정이다.
또 이재민들이 조금이라도 더 편안한 시설에서 생활하도록 정부와 기업 연수시설, 호텔·리조트 등으로 639명을 이동시켰고, 추가로 40여곳(수용 가능 인원 4000여명)과도 숙소 제공 여부에 대해 협의중이다.
/이석윤기자 lsy72km@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