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트럼프발 車 관세폭탄’ 대구·경북기업들 ‘직격탄’

김진홍 기자 · 김재욱 기자
등록일 2025-03-27 19:08 게재일 2025-03-28 6면
스크랩버튼
美 “내달 3일부터 외국산 자동차에 최대 25%관세”… 핵심부품도 포함<br/>韓 대미수출 1위 품목 “비상”… 대구-부품·포항-철강 등 경영 악화 우려
미국의 도널드트럼프 대통령이 27일 수입자동차에 25%의 관세부과를 지시하는 대통령령에 서명했다. /출처 미국 백악관 홈페이지

4월부터 대구(자동차부품), 포항(철강), 경주(자동차부품) 등 지역기업의 경영여건 악화가 우려된다. 대미수출이 감소하면 국내 자동차 완성차업체는 물론 포항의 철강기업부터 대구와 경주의 자동차부품 제조업체 등으로 연쇄적인 파급효과에서 벗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27일 아침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현지시각 26일)이 미국으로 수입되는 모든 자동차에 최대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여기에는 엔진, 파워트레인, 트랜스미션 등 핵심 부품도 포함된다. 승용차는 물론 하이브리드차, 전기차, SUV, 픽업트럭과 같은 일부 트럭도 포함된다. 관세부과 발효일은 한국 시간으로는 4월 3일 오후 1시부터 발효된다. 최근 국내 자동차업체가 대규모 미국 투자를 선언했음에도 관세폭탄을 피하지는 못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자동차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한 관세부과를 지시하는 대통령령에 서명을 마친후 백악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 ‘해방의 날’ 시작이다”고 말했다.

WSJ, 로이터 등에 따르면 백악관에서는 이 조치로 미국이 신규로 얻을 세수는 연간 1000억달러(약 150조원) 이상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난해 우리나라의 대미 수출 10대 품목가운데 5개를 차지하고 있는 자동차부문에 대미수출액 급락 등에 따른 국내 생산 감축으로 산업연관 파급경로를 통해 포항의 철강자재업체, 경주의 자동차부품업체 등에도 생산, 납품 물량이 축소되는 등 지역 기업의 경영악화는 회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대구 지역은 자동차부품이 대미 수출의 최대 비중(20.1%)을 차지하고 있다.

대구 자동차부품 기업 B사는 “자동차의 핵심부품에도 관세를 부과한다고 하는데, 어떤 부품까지 대상인지 상세한 정보제공이 중요하다”며 국가 차원의 정보수집 및 전달 체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구상의 이상길 상근부회장은 “지역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을 강화해 나가면서, 품목별 관세율 등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정보 제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무역협회 무역통계를 이용한 대미수출 품목별(MTI기준) 분석 결과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 흑자(556억2907만달러) 상위 10대 품목 중 5개가 자동차(흑자 약402억달러)다.

자동차는 한국의 대미 수출 1위로 지난해 대미수출총액의 27.2%(347억달러)를, 자동차부품(78억달러)까지 합하면 모두 33%에 이른다. 미국은 현재 승용차에는 2.5%, 트럭에는 25%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여기에 최대 25%까지 추가되면 승용차는 27.5%, 트럭은 50%의 관세가 적용된다.

/김진홍경제에디터·김재욱기자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