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진실을 말하는 것보다 이야기를 꾸며내는 것에 훨씬 능한 아이였다. 현실과 멀리 떨어진 이야기, 상상에 의해 만들어진 것들이 사실보다 더 사실 같은 장면으로 다가오곤 했다. 그러니까 어젯밤 무시무시한 괴물이 침대 밑에 숨어 있었다든지 방에 난 창으로 요정이 찾아왔다고 떠드는 것.
어떤 면에서 그것은 거짓말이라기보다 내 안에서 만들어진 왜곡된 형상을 믿는 것에 가까웠다. 간밤에 느꼈던 두려움이나 이질감을 나만의 방식으로 이해하는 과정이었던 것이다.
자라면서 나는 거짓말의 무시무시함을 체득하게 되었다. 특히 악의를 가지고 내뱉는 거짓말이 얼마나 사람을 괴롭게 하는지 깨달았다. 상황을 모면하고자 꺼낸 말이 걷잡을 수 없이 부풀어 오르는 것을 보았으며 그것을 수습하기 위해서 얼마나 큰 노력이 필요한지도 경험했다.
나를 둘러싼 오해가 커지는 과정, 사실이 아닌 것들이 나의 영혼에 덕지덕지 붙는 순간도 있었다. 거짓말은 짓궂은 악마처럼 나를 괴롭혔으나 동시에 나 자신도 거짓말이라는 무기를 들고 타인을 향해 얼마든지 휘두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거짓말의 세계에서 안온함을 느끼는 경우도 존재했다. 괜찮지 않은 상황에서 괜찮다며 스스로를 속이는 일, 그 사람이 나쁜 의도로 그런 행동을 한 것은 아닐 것이라고 지레짐작하는 일, 누추한 현실을 외면하고 도래하지 않은 미래를 그리는 일이 그러했다. 그럴 때의 거짓말은 한 줌으로 남은 희망이자 미지의 세계를 긍정하는 힘이었다. 거짓말이 있기에 현실을 버틸 수 있었고 헛된 상상의 영역으로 인해 삶의 부피가 한껏 풍부해지는 것을 느꼈다.
어쩌면 그것이 내가 소설을 좋아하게 된 결정적인 계기일지도 모른다. 소설은 필연적인 거짓말이니까. 얼마나 능청스럽게 거짓말을 늘어놓는가에 따라 이야기의 완성도가 결정된다. 작가와 독자는 서로의 거짓말을 믿기로 합의한 모종의 협력 관계다. 잘 구축된 거짓말을 통해 진실을 드러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김애란의 소설 ‘이중 하나는 거짓말’은 이러한 지점을 유려하게 풀어 놓는다. ‘이중 하나는 거짓말’은 소설 속 선생님이 고안한 자기소개 게임이다. 다섯 문장으로 자기를 소개하는데 그중에는 반드시 거짓말이 들어가야만 한다.
이를 통해 자신의 안에 감추고 있는, 누구에게도 꺼내 보이고 싶지 않은 진실을 거짓말의 형태로 발화할 수 있다. 거짓말이라는 형식 안에서 놀라울 정도로 솔직해지는 순간을 경험하고 자기 자신조차 몰랐던 진실을 확인하게 된다.
소설의 주인공은 청소년들이다. 세상의 모든 인물이 그렇듯 그들 역시 각자의 상황에서 감내해야만 할 것들이 존재한다. 가정 환경이나 좌절된 꿈과 같은. 그들의 시간은 어떤 것보다 뜨겁고 생생하다. 내일이 오지 않기를 바라지만 무궁무진한 시간이 남아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래서일까. 그들은 무언가 발설하고 싶다는 욕구에 시달린다. “누가 들어도 명백한 거짓 같아서 모두 웃어넘길 수 있는 진짜 이야기를.”
그러나 삶은 거짓말처럼 웃어넘길 수 없는 것이다. 그들은 자신의 현실에서 도망치는 법을 상상한다. 이불을 뒤집어쓰고 캄캄한 어둠 안에서 숨을 죽이다 보면 고통이 모두 지나가게 될까. 상황이 끔찍하다는 것을 두 눈으로 마주하고 싶지 않다. 결국 우리는 이불 밖으로 나와야만 하고 꼿꼿이 서서 차가운 현실을 통과해야 한다. 외롭고 두려울지라도.
그것은 소설 속 주인공이 종국에 “꿈에서 나는 돌아오지 않을 수도 있었지만 돌아왔다”는 문장을 떠올린 이유기도 하다. 꿈과 현실을 구분할 힘이 생긴다는 것은 어른이 되어간다는 뜻이다.
더 나은 쪽으로 발을 디디겠다고 마음먹는 것은 좋은 사람이 되겠다는 다짐이다. 김애란 작가가 ‘작가의 말’에 “삶은 가차없고 우리에게 계속 상처를 입힐 테지만 그럼에도 우리 모두 마지막에 좋은 이야기를 남기고, 의미 있는 이야기 속에 머물다 떠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적은 것도 비슷한 맥락일 것이다.
그러니까 거짓말은 마치 이불 같은 것. 추운 날 다정하게 덮어주면서 마음이 약해지면 꼼짝없이 붙들리는 것. 바람이 차갑게 불수록, 그로 인해 나 자신이 속절없이 흔들릴수록 절실히 생각나는 것. 이불 속으로 숨어드는 것은 어떤 것도 해결해주지 못한다. 그러나 무엇보다 확실한 위로로 작동할 수 있다.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이불도 거짓말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