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국내 화장품 실적 분석<br/>2012년 10억 달러 넘긴 후 12년 만에 ‘K-뷰티’ 글로벌시장 점령<br/>2023년 대비 20.6%↑… 기초·색조제품 선호 中·美·日 등서 인기
지난해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규모가 전년 대비 20.6% 증가한 102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역대 최대 수출액인 2021년 92억 달러보다 10.9% 증가한 것으로 국내 화장품 수출 사상 최대 실적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화장품 수출이 지난 2012년 처음 10억 달러를 넘긴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12년 만에 100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7일 밝혔다. 특히 2024년 10월 한 달 동안 10억 달러 이상의 수출 실적을 기록했다.
주요 국가별 수출액은 중국이 25억 달러로 가장 많았고 미국 19억 달러, 일본 10억 달러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10개국이 전체 수출액의 77%를 차지했다. 특히, 아랍에미리트 연합은 지속적인 수출 증가세를 보이면서 처음으로 수출 상위 10개국 안으로 진입했다.
중국은 우리나라 화장품 수출 1위를 유지했으나 수출액이 감소하면서 중국 수출 비중은 처음으로 20%대로 낮아졌다. 미국으로의 수출액은 2023년 대비 6억9000만 달러(+57.0%) 증가하면서 수출액 증가폭이 국가 중 가장 컸다. 일본은 2억3000만 달러 증가(+29.2%)했으며 일본으로의 화장품 수출액이 처음으로 10억 달러를 돌파했다.
제품 유형별 수출액은 기초화장품 76억7000만 달러(+12억8000만 달러, +20.0%), 색조화장품 13억5000만 달러(+3억 달러, +29.0%), 인체세정용품 4억7000만 달러(+1억1000만 달러, +30.7%) 순으로, 기초화장품이 지속적으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수출 증가폭은 인체세정용품에서 가장 컸다.
대중국 수출은 유형별로 대부분 감소했다. 특히 기초화장용 제품류에서 2억4000만 달러로 수출 감소액이 가장 컸다. 다만, 색조화장용 제품류는 2000만 달러로 수출이 증가했다.
오유경 식약처장은 “식약처는 우리 업계가 화장품 수출 성장세를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규제 외교를 통해 국가 간 협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중국, 미국 등 안전성 평가에 대응해 국제 수준의 품질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우리 기업을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부용기자 lby1231@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