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에 설 선물 양극화 뚜렷<br/>백화점 20만~30만원대 주력<br/>마트 3사는 5만원 미만 38.9%<br/>맥심 커피세트·홍삼원 등 인기
“올해는 물가가 올라서 설 선물 구입하는데도 부담이 갑니다. 흔하게 선물하는 사과나 배 세트 조차 7만원 이상입니다. 형편에 맞게 해야 하는데 마땅한 선물이 없어서 난감한데 한편에서는 40만원이 넘는 한우세트가 잘 팔리고 있다니 착찹한 심정입니다.”
포항시 두호동에 사는 김민숙(46·주부)씨의 말처럼 고물가로 백화점·대형마트의 설 선물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5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이달 설 선물 세트와 관련해 백화점은 20만∼30만원대 상품을, 대형마트들은 10만원 미만 상품을 각각 주력으로 판매한다.
신세계백화점과 현대백화점은 작년 설 대비 10만원 미만 선물 물량이 5% 정도 감소하고 100만원 이상 선물 물량이 5% 증가했다고 밝혔다.
두 백화점에서 10만원 미만 선물만 줄고 나머지 가격대 상품은 작년보다 늘었다. 10만원대와 20만원대 선물은 각각 15%, 20% 증가했다. 과일 중에서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사과·배 선물 세트를 보면 작년보다 사과 소매값은 10% 정도 내렸지만 배는 25%가량 올랐다. 이 때문에 백화점들은 한라봉과 샤인 머스캣, 애플망고 등과 사과·배를 섞은 혼합세트를 늘렸다.
백화점들은 비교적 가격대가 높은 편인 한우의 경우 포장 중량을 줄여 가격을 낮추는 전략을 내세웠다.
롯데백화점은 인기 한우 상품 중량을 2㎏에서 1.6㎏으로 줄여 중간 가격대 선물을 보강했다.
로얄 한우 스테이크와 로얄 한우 로스 상품 중량을 1.6㎏에 맞춰 각각 48만원과 45만원에 판매한다.
현대백화점도 한우 선물 세트의 기본 포장 단위를 450g에서 200g으로 줄이고 보관과 조리가 편하게 개별 진공으로 포장했다.
백화점들은 선물 세트 가격은 지난 명절과 똑같이 받거나 올리는 대신 구성품 용량을 줄이는 ‘슈링크플레이션’ 제품은 없다고 강조했다.
앞서 작년 추석 당시 한국소비자원이 백화점·대형마트의 선물 세트를 조사한 결과 선물 세트 7종이 용량을 줄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샴푸 500㎖ 3개를 500㎖ 2개와 380㎖ 1개로 바꾸는 등의 방식이라 일반 소비자가 알아차리기 힘들다고 소비자원은 설명했다.
백화점과 달리 이마트·홈플러스·롯데마트 등 대형마트 3사는 설 선물 세트 가운데 저가의 ‘가성비’ 상품을 늘렸다. 이마트의 올해 설 선물 세트 가격대별 구성비를 보면 5만원 미만 상품이 38.9%로 비중이 가장 높다. 이는 작년 설 대비 4.7%포인트 늘어난 것이다.
그러나 △5만∼10만원 32.2%(-2.8%포인트) △10만원대 14.3%(-1.1%포인트) △20만원 이상 14.6%(-0.8%포인트) 등 나머지 가격대 상품 비중은 지난 설보다 줄었다.
롯데마트도 10만원 미만 상품 비중을 70%로 구성해 작년보다 5%포인트 늘리는 대신 10만원 이상 100만원 미만 상품 비중을 그만큼 줄였다.
현재까지 홈플러스의 설 선물 세트 가운데 매출이 높은 상품을 보면 1위 동서 맥심 커피세트 22호(3만4000여원), 2위 정관장 홍삼원 50㎖ 30포(2만5000여원), 3위 사조 안심 특선 88호(1만7000여원) 등 가성비 상품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단정민기자 sweetjmini@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