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 올해 22개 시·군 261회 운영<br/>실질적인 육아 지식·실습 중심<br/>양성 평등 지수 개선에도 한 몫
경북도는 저출생 문제를 극복하고 양성평등 인식 개선을 위해 올해 아빠의 육아 참여를 독려하는 ‘아빠교실’사업을 추진했다.
25일 경북도에 따르면 ‘아빠교실’은 아빠가 육아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가정 내 엄마의 육아 부담을 줄여 여성의 직장 복귀와 경제활동 참여를 촉진하고, 육아 분담의 역할을 넘어 가족 내 양성평등 의식 확산과 가족의 행복도를 높여 출생률을 증가해 저출생 문제를 극복하는 선순환 생태계를 만드는 데 중점을 둔 사업이다. 올해 총사업비 1억6000만 원(도비 8000만 원, 시·군비 8000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22개 시·군 가족센터에서 261회의 프로그램을 운영, 총 5259명의 아빠가 참여했다.
프로그램은 실질적인 육아 지식과 실습을 중심으로 설계해 아빠와 아이가 함께하는 놀이 활동, 육아 관련 강연과 워크숍, 가족 캠프와 체험 프로그램, 육아 경험 공유와 네트워킹 등 다양한 구성으로 만들었다. 아빠들은 이러한 활동을 통해 육아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가족과의 유대감을 강화했다.
경북도가 아빠교실 참여자를 대상으로 한 만족도 조사 결과, 참여자 대부분이 프로그램에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육아 정보도 얻고 아이와 즐거운 시간을 함께 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만족감을 보였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 가장은 “가족을 위해 열심히 일했지만, 아이와 놀 시간이 부족해 항상 미안하던 중 가족센터에서 운영하는 ‘아빠교실’에 참여하게 됐고, 서툴러도 아이와 함께 놀고 소통하는 법을 익히며 유대감을 쌓았다”고 밝혔다.
아빠가 육아를 적극적으로 돕자, 엄마는 오랫동안 꿈꿔왔던 시간제 일자리를 얻었다. 애초 한 명만 낳아 잘 키우려던 부부는 새로운 희망과 자신을 갖고, “둘째 아이를 낳아도 행복하게 키울 수 있겠다”라는 생각에 둘째를 임신하게 된 사례도 있었다. 이처럼 경북도는 아빠교실을 통해 양성평등 지수(여성의 경제활동 참여)를 개선하고, 저출생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해법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가족의 새로운 역할 모델을 제시하고 있다.
안성렬 저출생극복본부장은 “아빠교실은 단순히 육아를 돕는 프로그램을 넘어 가족 구성원 모두가 행복해지는 길을 제시하고자 한다”며 “이를 통해 여성의 커리어와 가정 내 역할 분담이 조화를 이뤄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는 선도적인 모델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