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슬픔의 형식

등록일 2024-12-23 19:53 게재일 2024-12-24 17면
스크랩버튼
슬픈 마음을 발견하는 건 몹시 슬픈 일이지만…. /언스플래쉬

열 살 무렵, 친할아버지가 세상을 떠났다. 그에 관해 특별한 추억이 있지 않다. 다만 할아버지 댁에 가면 씁쓸한 약 냄새가 났다는 것, 칭얼대는 나를 두고 ‘어른들 말을 안 들으면 아주 커다란 주사를 놓겠다’고 으름장 놓던 것, 돌처럼 단단한 얼굴로 어딘가를 응시하던 눈과 그 시선의 방향이 나를 향하고 있지 않았다는 것쯤이 기억날 뿐이다. 그는 강한 인상을 가졌으나 한편으론 무척이나 약해 보였다. 마른기침을 하다가 파리한 안색으로 방에 들어가 쉬겠다고 말하곤 했으니. 그런 할아버지의 등을 바라보며 ‘혼자 방에 있는 것은 외롭지 않을까?’하고 생각하는 것이 마음 쓰는 일의 전부였다.

나는 외증조할머니의 손에서 자랐고 그녀에 대한 애틋함을 온몸으로 표현하는 유년 시절을 보냈다. 그런 내게 친할아버지는 너무나 멀리 놓인 사람이었으며 나아가 완벽한 타인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그래서였을까. 그의 부고를 들었을 때 놀라울 만큼 현실감이 느껴지지 않았다.

할아버지의 장례식에서 나는 해맑은 모습으로 아무렇게나 뛰어다녔다. 하관을 위해 온 가족이 선산에 모였을 땐 주머니에서 사탕을 꺼내 사촌 동생과 나눠 먹기도 했다. 오빠는 불같이 화를 냈다. 넌 슬프지도 않아? 할아버지께서 돌아가셨잖아. 그제야 나는 내가 할아버지의 죽음 앞에서 다른 사람과 비슷하게 행동하고 있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예배가 시작되었고 다 함께 입을 모아 찬송가를 불렀다. 그의 영혼이 하나님 곁에서 평온히 쉴 것이라는 고모의 말을 들으면서도 나는 실감이 나지 않아 속절없이 주위를 두리번거렸다. 그날 밤 자려고 누웠는데 허전하고 슬펐다. 이제 좀 쉬겠다고 말하고 방문을 닫는 할아버지의 등이 자꾸만 떠올랐기 때문이다. 조금 울었던 것도 같다. 슬픔 안에 빠져 있는데 이상하리만큼 마음이 놓였던 밤이 지금도 생생하다.

정기현 소설 ‘슬픈 마음 있는 사람’에는 어디론가 끊임없이 걷는 화자가 등장한다. 그녀의 하루는 능숙하지 않은 사람 둘이 탁구하는 것처럼 일정하고 따분하게 이뤄진다. 그녀는 주로 평일 오후 교회에서 시간을 죽인다. 교회에서는 몇 번의 장례가 이루어지는데 그녀는 그 의식에 건조하게 참석한다. “슬픈 사람은 슬픈 한가운데 서 있었고 실은 슬프지 않은 사람들은 슬픈 얼굴을 하고 슬픔 한가운데 선 사람들의 기색을 살피다 집으로 돌아”가는 모습을 보다가 권사님의 또렷한 슬픈 눈동자를 마주하고 당황하기도 한다.

슬픔의 형식을 부주의하게 파괴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소설 속 화자는 알고 있다. 자신이 어떤 마음을 느끼고 있는지 발설하는 순간, 아슬하게 유지되고 있는 모종의 질서가 상태가 깨질 것임을 직감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이다. 그녀가 유일하게 동질감을 느끼는 사람은 함께 탁구를 치는 이뿐이다. 그러나 그가 자신이 목사의 아들이라는 것을 밝힘으로 유대도 깨지고 만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소설 속 화자는 세계 속으로 편입하고자 균형을 깨뜨린다. 그의 은밀한 취미, 고가도로 밑 낙서의 기원을 상상하는 일에 관한 진실을 말해버린 것이다. 진실을 공유하였으니 더욱 친밀한 관계로 나아갈 것이라고 예상하나 타인에 의해 순식간에 결말을 봐 버린 그의 반응은 기대와 다르다. 화자의 마음에 슬픔이 깃든다. 결국 “자신이 비로소 슬픈 마음 있는 사람이 된 것에 아늑함을 느끼면서도 슬픈 마음을 가지게 된 덕분에 슬픔 속에 한참을 머물” 수 있게 된다.

자라면서 나는 몇 번의 죽음을 더 경험했다. 사랑했던 사람, 가까운 가족과 친구의 죽음 앞에서 나는 어렵지 않게 슬픈 마음을 토해낼 수 있었다. 굳이 노력하지 않아도 되는 일이었다. 이제 나는 애도의 절차를 훌륭히 소화해 낼 수 있는 어른으로 자라났다. 그 사실에 안심하면서도 때때로 슬픔이 찾아오곤 한다.

찬송가 ‘슬픈 마음 있는 사람’의 가사 구조는 단순하다. “슬픈 마음 있는 사람 예수 이름 믿으면 영원토록 변함없는 기쁜 마음 얻으리”라는 구절은 누구에게나 슬픈 마음이 있다는 방증이기도 하다. 슬픈 마음을 발견하는 것은 몹시 슬픈 일이지만 우리는 그 안에서 모종의 안도를 느낀다. 슬픔의 형식 속에서 자신을 바라보고 누군가와 더 깊은 유대로 나아갈 수 있다는 믿음을 갖게 된다. 소설 속 화자처럼 그것이 실패로 돌아갈지라도. 슬픔의 한복판에 들어가 오랫동안 머무르고 나왔다는 사실, 언젠간 그것이 다른 마음으로 치환될 것이라는 환상이 현실을 지탱하는 것이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