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미역줄기

등록일 2024-12-22 18:23 게재일 2024-12-23 17면
스크랩버튼
미역줄기.
미역줄기.

“따르릉”전화벨이 울린다. 대부분 저녁을 회사에서 먹고 오는 남편이 오늘은 집에서 먹고 싶다며 일찍 온다고 한다. 오늘따라 아이들도 일찍 와서 오랜만에 가족이 다 모였다. 갑자기 내 손이 분주해졌다. 얼른 쌀을 씻어 전기밥솥에 올려놓고 반찬을 하려니 아무것도 없다. 장갑을 끼고 모자를 쓰고 빠른 걸음으로 집 앞에 있는 시장에 갔다.

겨울바람에 가지는 잎을 다 내어주어 앙상했다. 이곳저곳에 시린 손을 비비며 할머니들이 무와 배추 그리고 미역을 놓고 입김을 내고 있었다. 살아온 세월만큼이나 길게 느껴지는 시간을 보내고 계셨다. 벌써 가로등은 다 켜졌는데 할머니들은 언제 따뜻한 식탁으로 돌아갈까 못내 마음이 쓰인다.

미역줄기와 배추를 사서 집에 왔다. 나의 손은 바빴다. 된장찌개를 끓이려고 뚝배기에 멸치를 넣고 물을 우려냈다. 미역을 미지근한 물로 조물조물 씻다가 늘 이맘때면 나오는 미역을 보니 아버지 생각이 났다.

아버지는 무뚝뚝하시며 집안일에는 손 하나 까딱하지 않은 전형적인 경상도 남자였지만 막내딸인 나에게 만큼은 늘 따뜻한 서울 남자였다. 따뜻한 봄이면 함께 토끼풀을 뜯으러 다녔고 클로버, 국화꽃, 제비꽃의 이름을 가르쳐 주었다. 처음 배운 두발자전거에 토끼풀을 잔뜩 실어 만선의 기쁨을 누리는 어부처럼 마냥 신났고 겨울엔 강가에 모닥불을 피워 돌멩이를 주워 모아 물수제비 놀이에 하루해가 기울었다. 집에 돌아오는 길엔 시장에 들러 항상 미역줄기를 사오곤 했다.

내가 결혼을 하겠다고 남자를 데리고 갔을 때, 아버지는 마음에 들어 하지 않았다. 남편이 마음에 안 드는 것이 아니었다. 가슴시리도록 아까운 딸을 떠나보내기 싫어서 종일 우울해 하셨다. 결혼식 날 조용히 방에서 밤새 앨범만 뒤적였다고 하셨다. 앨범속의 나는 아버지 마음을 아는지 모르는지 그저 행복하게 웃고만 있었을 것이다.

나는 아이를 낳고도 음악학원을 계속했다. 늘 바빴다. 학원이 친정과 가까이 있어서 마치면 거의 친정에 들렀다. 아버진 팔십이 넘은 나이에도 내가 갈 때마다 아랫목에 앉혔고 동그란 상에 보글보글 된장찌개를 끓여와 아버지 사랑만큼 따뜻한 저녁을 차려 주셨다. 아버지가 끓여준 된장찌개에는 늘 미역줄기가 들어 있었다. 미역줄기를 좋아 하는 딸에게 주는 아버지의 사랑이었다.

어느 여름날 뜨거운 햇볕 아래 해변을 걷던 중, 파도가 밀려오면서 모래 위에 널브러진 미역 줄기를 발견했다. 처음에는 그냥 흔한 해초로만 보였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니 바다에서 얼마나 긴 여정을 거쳐 여기까지 왔을까 하는 생각에 감탄이 일었다. 부서진 조개껍데기와 작은 돌에 수십 번을 긁혔겠지만 끝내 이곳까지 온 미역 줄기를 보며 유연함을 떠올렸다.

김경아 작가
김경아 작가

바람을 거슬러 싸우기보다 흐름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다듬어 가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한 지혜를 배우게 되었다. 어쩌면 아버지는 마흔에 얻은 막내딸이 삶의 강물에서 고이지 않고 잘 흘러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미역줄기를 넣어 찌개를 끓여냈을지도 모를 일이다.

내가 아무리 끓여 보아도 그 맛은 나지 않았다. 미역 줄기처럼 곧고 탱탱하시던 아버지가 미역 잎처럼 힘이 없고 약해지셨지만 늘 상을 들고 오시는 아버지의 모습은 선명하다. 된장찌개의 향은 밥상 위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내 가슴 깊이 말뚝처럼 박혀 있다. 하지만 그 향기가 한편을 아리게 한다. 아버지와 함께 식탁에 앉아 밥을 먹던 시간이 언제였던가. 가끔 내가 기대고 싶을 때 미역줄기가 든 아버지의 된장찌개는 그림처럼 떠오른다.

나이가 들수록 아름다운 단풍처럼 세월이 지날수록 아버지의 사랑은 더욱 그윽하게 다가왔다. 아버지의 사랑을 미역 줄기에 담아 나도 오늘 저녁 된장찌개에 넣어본다. 거센 파도가 와도 부러지지 않고 휘어지고 흩날리며 파도와 함께 춤추는 미역줄기처럼 우리 아이들도 세상의 바다에서 강하게 살아내길 바라는 마음으로 아이들을 바라본다. 미역 줄기의 향이 아버지의 손맛과 함께 식탁 위에 그윽하다.

김경아의 섬섬옥수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