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엄마의 손에는 늘 상처가 있었다. 밴드도 붙이지 않은 손가락에는 곳곳이 칼에 베어 살들이 벌어져 있었다. 엄마는 피가 마르지 않은 손으로 빨래도 척척 해내고 설거지도 후다닥 해치웠다. 그 손이 아플 수도 있다는 생각은 한 번도 해 보지 못했다.
엄마는 결혼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남편인 나의 아버지가 아팠다. 어린 자녀들을 두고 아픈 남편을 대신해 생계를 책임져야 했다. 엄마는 젊은 나이에 시장에서 회를 팔았다. 회를 뜨는 일은 경험이 없는 엄마에게는 생소한 일이었다. 회를 뜨는 칼에 생선살과 함께 자신의 살도 베는 일이 많았다. 그 상처는 보이지 않는 가슴의 상처와는 비할 수가 없었다.
살아 내어야 한다는 강한 의지는 아버지도 살려냈다. 아버지는 엄마의 억척스러운 손으로 인해 새로운 생명을 찾았다. 엄마 손에 가락지만 주렁주렁 달아 주겠다던 아버지의 약속은 금이 간 지 오래다. 손에 물 한 방울 안 묻히겠다던 다짐은 온데간데없다. 엄마의 손은 눈물로 젖어 불어 있었다.
건강을 찾은 아버지는 엄마의 삶을 보상해 줄줄 알았다. 하지만 아버지는 겉돌았고 일하는 엄마를 대신해 우리를 돌보지도 않았다. 일에 지친 엄마는 가끔씩 악을 썼다. 엄마는 일생을 젖은 손으로 우리를 공부시켰고 결혼도 시켰다. 일흔이 넘어서야 물에서 손을 떠나보냈다.
우리들이 엄마가 되고 나니 이따금 마음의 말을 내어 놓는다. 손 한 번 잡고 살려줘서 고맙고, 고생 시켜 미안 하다는 말 한 마디만 해 주면 고생 한 거 다 잊을 것 같다며 야속한 아버지를 탓했다.
몇일 전 오빠에게서 전화가 왔다. 엄마가 침대에서 떨어져 꼼짝을 못한다며 구급차에 실려 응급실에 왔다고 했다. 누워 있던 엄마의 다리는 미이라 같았다. 왼쪽 발에서부터 골반까지 하얀 붕대가 칭칭 감겨 있었다. 엄마는 일어나 앉지도, 옆으로 돌아눕지도 못했다. 자신의 다리를 혼자서 굽히지도, 들지도, 펴지도 못했다. 수술을 할 때까지 그저 천장만 바라보며 누워 있을 수밖에 없었다. 침대에서 떨어져 고관절이 산산 조각이 났다. 당장 수술을 해야 했지만 심장이 좋지 않은 엄마는 늘 아스피린을 복용했다. 일주일을 기다려야 했다. 누워서 죽만 받아먹고 물도 빨대에 꽂아 먹이고 양치도 누운 상태에서 했다. 소변 줄을 달고 큰 볼일도 기저귀를 통해서만 가능했다. 엄마는 볼일이 힘들어 거의 곡기를 끊었다,
엄마의 손은 허물 벗은 뱀 껍질처럼 물기하나 없었다. 거죽만 남은 엄마의 손을 닦이고 로션을 발랐다. 엄마의 손은 이불에 닿을 때마다 까슬까슬 소리가 났다. 거칠었다. 가정을 위해, 어린 자식을 위해 ‘여자의 손’을 포기 하고 선택한 ‘엄마의 손’이었다.
수술 전 날 가족들이 다 모였다. 집에서 걱정만 하던 아버지도 오셨다. 청각 장애가 있는 아버지는 조용한 장소에서는 의사소통이 힘들다. 아버지는 그저 말없이 앉아만 있었다. 옛 세대들이 그렇듯 힘들어 하는 엄마 앞에서도 무덤덤해 보였다.
저녁이 되었지만 아버지는 집으로 가지 못하고 발지도만 그렸다. 겨우 일어나 나가던 아버지는 자꾸 엄마 쪽을 보았다. 문을 열고 나가려다 돌아서서 성큼성큼 엄마에게로 왔다. 갑자기 이불 속에 있는 엄마 손을 꺼내더니 덥석 잡았다. 그리고는 큰 소리로 말했다.
“마이 무라. 손이 이게 뭐고. 다 말라 비틀어졌다. 마이무래이”
아버지 두 손 안에 엄마 손 하나를 감싸 잡았다. 앉아 있는 내내 하고 싶었던 마음의 말을 입으로 삼키다가 돌아서서 한 마디 하고는 다시 돌아섰다. 엄마 눈에는 왜 눈물이 고였을까.
엄마는 수술로 인해 아프고 불편한 다리를 가졌지만 평생을 삭혀둔 가슴의 상처가 치유 된 듯하다. 아버지의 말대로 엄마는 많이 드시고 손에 조금씩 살이 차올랐다. 수많은 손들이 있지만 자식을 향한 수만 가지의 사랑과 정성이 들어 있는 세상의 어머니들 손은 아름답다. 아팠던 손 안에서 상처가 꽃이 되어 삶의 꽃이 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