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2024년과 보통의 일상

등록일 2024-11-18 18:14 게재일 2024-11-19 17면
스크랩버튼
매일이 영화 주인공처럼 특별하지 않아도 된다. /언스플래쉬

2024년도 얼마 남지 않았다. 되돌아보면 참 여러 일이 있었고 일도, 주변 사람도, 환경도, 사는 곳도 참 빠르게 바뀌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내 곁에 남아 좋은 영향을 주는 것들이 있어 올 해도 참 부지런히 행복했다는 생각이 든다.

올해 배운 것 중에 가장 좋은 것은 뜨개질이다. 뜨개질은 앞을 향해서만 나아간다는 점에서 달리기와 비슷하다. 달리기는 일정한 호흡과 함께 더 멀리, 더 빠르게 몸을 활용하여 나아가는 것이면, 뜨개질은 바늘과 실을 반복해서 통과하며 정신으로 집중해서 나아간다. 달리기가 온몸으로 하는 것이라면 뜨개는 고도의 집중력으로 섬세하게 나아가는 일종의 정신 수련과도 같달까. 물론 달리기와 뜨개질이 크게 다른 점이 있는데, 앞으로 빠르게 뛰는 달리기와는 다르게 뜨개질은 다시 뒤로 되돌아 갈 수 있다는 점이 있다.

안뜨기나 바깥뜨기만을 반복하는 대바늘 뜨기는 특별한 기법이 없어 단순하다. 쉬운 난이도 덕분에 뜨개를 처음 접할 때에 가장 먼저 배우는 기법 중 하나기도 하다. 단순히 반복되기 때문에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지만, 그 때문에 오히려 자칫 쓸데없는 생각에 빠져 들기도 쉽다. 생각이 다른 길로 세는 순간 바늘은 기다렸다는 듯 엉뚱한 실의 구멍으로 들어가 버린다. 바늘코가 빠져 커다란 구멍이 생기거나 또는 패턴이 망가져 전체적인 편물의 모양에 흠이 나고 만다.

정갈하게 촘촘히 짜여있는 패턴에 흠 하나가 너무 잘 보일때의 스트레스란… 어느 때엔 화가 나서 씩씩거리게 되지만 그럴 땐 빨리 마음의 평화를 찾으며 어디서부터 잘못되었는지 확인해야 한다. 푸는 방법은 간단하다. 모조리 바늘에 걸린 실을 모두 빼어 그대로 쭉 풀면 된다. 어느 때엔 잘못 뜬 부분을 늦게 발견해서 한 두시간 뜬 결과물을 모조리 풀어야 할 때도 있다.

물론 실 특성마다 달라 풀자마자 끊어져 버리거나 눈에 띄게 상하는 실도 있어 되도록 실수는 안 하면 좋다. 다행히 두께가 어느 정도 있거나 비교적 튼튼한 실일 경우엔 어느 정도 부담을 덜고 풀 수 있다. 뜨개인들은 잘못 뜬 부분을 다시금 푸는 것을 ‘푸르시오 엔딩’이라고 하는데, 실수를 자책하는 시간에 어서 이 실패의 엔딩을 끝맺음하고 실을 다시금 모조리 풀으라는 뜻의 우스갯소리다.

푸르시오 엔딩이 유독 잦은 날은 화가 많이 나는 날이나 또는 과거의 사건에서 자꾸만 마음이 머물러 뜨개에 집중하지 못할 때다. 과거 내가 한 선택들로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결과들, 어쩔 수 없는 상황과 나의 실수로 멀어진 사람들, 과거와 내가 크게 달라진 부분 등등. 왜 자꾸만 과거를 떠올렸는지는 정확히 모르겠지만 아마 앞자리가 바뀌는 나이, 그에 따른 책임감, 어른으로서의 일인분의 몫은 무엇인지, 내가 과연 지금 잘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에 대한 의아함에 뒤숭숭했기 때문이었을 것이고, 괜시리 그 답을 자꾸만 과거에서 찾으려고 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윤여진 201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작가.
윤여진 2018년 매일신문 신춘문예 시 부문에 당선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현재보다 미래가 기대되는 젊은 작가.

아직도 어른으로서의 의문은 여전하지만, 그래도 이젠 뜨던 편물에 구멍이 생겨도 조금 여유롭게 바라볼 수 있게 되었다. 잔 실수로 구멍이 여기저기 얼룩덜룩 보이는 결과물일지라도 여전히 형태는 여전하고 가치 또한 그대로 유지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잔 실수가 보여도 조금 더 너그럽게 애정을 가지고 차분히 뜨개질을 하면서 겨울에 쓰일 유용한 물건들을 이것저것 많이 만들고 있다.

뜨개를 좋아하는 이유 중 또다른 하나는 단순 반복 행위는 오히려 자칫 지루한 삶을 견디게 해준다는 것을 알려주었기 때문이다. 아침에 일어나 이불을 정리하는 것,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는 것, 간단한 아침식사를 꼭 하고, 주 2회 정도는 되도록 저녁 일곱시쯤 운동 하기, 주말엔 정해 놓은 공부를 한 시간 정도 하는 것 등등. 일상에 정해 놓은 반복되는 일들은 자칫 지루할지라도 일정한 손놀림으로 만들어내는 손뜨개처럼 소박하고 정직하다. 특별할 것 없는 평범한 하루하루이지만 결국 무탈한 한 해가 되면서, 생의 지루함에서 조금 물러나 충직하게 살아가게끔 한다.

하루하루 또는 매해가 영화 속 주인공처럼 특별하지 않아도 된다. 거대한 사건이나 이벤트가 생기지 않는 다소 심심한 일상이어도 그저 현재에 충실하다면 그것만으로도 충분하다. 어딘가 심심하고 무언가 지루하지만 충실히 하루하루를 살아내는 것. 뜨개질이 알려준 행복에 충실했던 올해가 빠른 속도로 가고 있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