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안동시 민선 8기 변화와 혁신, 성공 DNA 심는다

피현진기자
등록일 2024-11-06 11:32 게재일 2024-11-07 10면
스크랩버튼
권 시장의 철학 ‘새로운 안동’ 만들어
안동시가 지난달 28일 서울광장에서 개최한 지역 농축특산물 직거래장터 ‘왔니껴 안동장터’가 관람객들으로 크게 붐비고 있다./안동시 제공
안동시가 지난달 28일 서울광장에서 개최한 지역 농축특산물 직거래장터 ‘왔니껴 안동장터’가 관람객들으로 크게 붐비고 있다./안동시 제공

안동시의 행정이 ‘변화와 혁신’이라는 권기창 시장의 철학과 의지가 반영되며 새로운 모습으로 변화하고 있다.

안동시는 최근 지역 농축특산물의 유통 혁신과 경쟁력 확보 및 전 세계로의 판로 확대를 위해 공격적이고 획기적인 판매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 추진해 왔다.

이같은 노력은 서울광장에서 지난달 28일부터 3일간 진행된 농축특산물 직거래장터 ‘왔니껴 안동장터’에서 17억 원의 매출 실적을 올리는 성과로 이어졌다.

이 행사에는 54개 농가·단체가 참여개 64개 부스에서 안동한우와 안동사과, 안동산약 마, 안동생강, 안동고구마, 안동간고등어와 더불어 백진주쌀, 안동문어 등의 품목을 판매했다.

행사는 입소문을 타고 인근에서 찾아올 만큼 선풍적인 인기를 얻었다. 실제로 이번 직거래장터에는 3일간 약 12만 명이 몰린 것으로 추산됐다.

그 결과 행사장에서 약 17억 원의 매출액을 올렸고, 28일 방송된 홈쇼핑에서 안동사과가 완판을 기록하며 3억 원가량의 매출을 기록했다.

안동시가 과감한 변화와 혁신으로 시도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올해 148만 명을 끌어들이는 성과를 달성했다. /안동시제공
안동시가 과감한 변화와 혁신으로 시도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이 올해 148만 명을 끌어들이는 성과를 달성했다. /안동시제공

올해 25회째를 맞은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도 변화의 좋은 예다. 그동안 페스티벌은 탈춤공원 일원에서 열려 왔으나 구 안동역과 탈춤공원을 아우르는 넓은 공간으로 축제 장소를 과감하게 변경하고 다양한 콘텐츠도 준비했다. 올해 역대 가장 많은 148만 명이 축제에 다녀가며 새로운 변화가 큰 성과로 이어졌다.

또한, 중앙신시장도 큰 변화를 맞았다. 그간 중앙신시장은 장날마다 무질서하게 펼쳐진 불법 노점상과 노상적치물로 인한 교통혼잡 등으로 많은 불편을 겪으며 안전에 대한 우려도 컸다.

안동 오일장이 중앙시장길을 활용한 안동시의 정책으로 활기를 찾고 있다. /안동시 제공
안동 오일장이 중앙시장길을 활용한 안동시의 정책으로 활기를 찾고 있다. /안동시 제공

시는 이를 해결하고 침체한 전통시장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안동 3월 말부터 중앙시장길 일원에서 ‘왔니껴 안동 오일장’을 운영하고 있다.

특히, 안전하게 장을 볼 수 있는 장소에, 다양한 문화공연과 장보기 행사 등 새로운 시도를 통해 시장 개설 한 달 만에 만석이 될 정도로 활기를 찾으며 지금까지 많은 상인과 방문객이 이용하고 있다.

11월부터 시행된 ‘가정용 상수도 요금 감면’은 그동안 안동댐, 임하댐으로 피해를 받아온 안동시민을 위한 변화와 혁신 사례로 꼽힌다

권 시장은 “어려움도 있었지만, 감면을 시행할 수 있었던 것은 인디언들의 기우제를 지내면 반드시 비가 온다는 마음이었다”며 “그들은 비가 올 때까지 기우제를 지내기 때문이다.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추진한 결과였다”고 밝혔다.

권 시장은 이어 “안동시는 오랜 숙원이던 안동바이오생명 국가산업단지를 유치했고,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한민국 문화특구, 교육발전특구, 기회발전특구 3대 특구 도전을 이뤄냈다”며 “지금까지의 성공을 발판 삼아, 남은 기간 혁신 또 혁신하며 전진하겠다”고 덧붙였다.

/피현진기자 phj@kbmaeil.com

북부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