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경북 영일군(지금은 포항시) 어느 산골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내가 1~2학년 때쯤 다니던 국민학교(지금은 초등학교)에 졸업식이 열렸다. 이 골짝 저 골짝 촌로들이 흰 두루마기를 입고 식장을 가득 채웠다. 교장 선생님의 거창한 식사에 이어 5학년 언니의 송사(送辭)와 졸업생 누나의 답사(答辭)가 이어지는데 온 식장 안이 눈물바다였다. 아예 엉엉 우는 졸업생 누나들에 영문도 모르게 나도 따라 울었다.
졸업하는 언니들이 왜 그렇게 서럽게 울었는지 세월이 많이 흐른 뒤에 알게 되었다. 그 시절 우리는 너무 가난하여 여학생의 초등학교 졸업은 사실상 사회생활의 끝이었다. 초등학교 졸업 후 몇 년간 집안일을 돕다가 시집가서 육아와 가사 일에 전념하게 되는 것이다.
70년대 경제성장이 본격화되면서 그 서럽던 소녀들이 도회지로 대거 몰려나와 섬유와 전자공장에 취직하고 공장 부설 야간 학교를 다니면서 시골도 활기를 띠기 시작했다. 명절이 되면 그 누나들은 선물셋트를 들고, 형님들은 포니 자가용을 끌고 고향을 찾아왔다. 명절날 시골은 그야말로 잔치집이었다. 그들이 간 곳이 굳이 서울 구로공단이나 성수동 공장도 아니었다. 대구 제일모직과 구미 삼성전자, 울산 자동차 공장이었다.
21세기를 AI가 주도하는 첨단산업시대라고 한다. IT(정보), CT(통신), BT(바이오), NT(나노), ET(엔터테인먼트)가 주력이다. 이들 산업이 지방 소멸을 부추기고 있다. 20세기의 주력산업이 섬유산업을 거쳐 철강 자동차 조선 전자 화학 등 중화학 산업이다. 중화학 산업은 본사는 중앙 정부와 가깝고, 해외 무역에 유리한 서울에 둔다고 해도 공장은 지방에 두었다. 넓은 공장부지가 필요하고 항구가 가까워야 하기 때문이다.
그 시절에는 수도권 집중이 심했지만 울산 포항 구미 거제 광양 같은 곳도 번성했다. 한때 울산의 GRDP가 서울을 능가하고 거제의 물가가 서울에 버금갈 경우도 있었다. 불균형적이기는 해도 지방도 개평으로 먹고살만 했다.
첨단산업시대에는 지방이 없다. 일단 대규모 공장용지가 필요하지 않다. 공장이 필요하더라도 굳이 애국심에 불타 지방에 지을 필요가 없다. 베트남이나 폴란드에 지으면 된다. 첨단산업시대에 필요한 것은 머리 좋은 인재다. 인재는 좋은 대학이 몰려 있는 서울에 집중되어 있다. 이들은 소득 수준도 높아 여가와 문화를 누릴 수 있는 곳에 살기를 원한다. 수도권 집중에 따른 폐해는 지금 우리가 겪고 있는 문제의 대부분이다.
청운의 꿈을 안고 서울 간 청년도 수도권 집값이 너무 높아 결혼하기가 힘들고 애기 키우기가 힘들다. 출퇴근하기 힘드니까 선진국 문턱이라지만 인생은 고달프다. 지방은 노인들만 살아서 마을회관 청년회장이 68세다. 복숭아꽃 살구꽃 꽃대궐 우리 고향에는 스러져가는 빈집과 기름진 문전옥답에 녹음방초만 우거져 있다. 그 사회적 비용은 엄청나다. 그 비용을 지방에 투자하라는 것이다.
해결책은 명확하다. 지방에 더 좋은 대학을 만들어 머리 좋은 인재들을 지방에서 키우고, 그 인재들이 지방에서도 즐겁게 살 수 있도록 투자해야 한다. 왜 국민이 다 같이 내는 세금으로 국립 미술관, 박물관, 오페라 하우스를 서울에만 짓는가.
나는 보름달이 훤하게 뜬 명절날 AI가 밉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