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이용악의 함경도 방언 시의 애환과 슬픔

등록일 2024-09-09 18:26 게재일 2024-09-10 16면
스크랩버튼
이상규 경북대 명예교수 전 국립국어원장
이상규 경북대 명예교수 전 국립국어원장

이용악은 함경북도 경성 출생이다. 국경을 넘나들며 소금장수를 하던 아버지를 연상하며 눈이 내린 날 쓴 ‘국경’이라는 작품은 이 민족의 슬픔과 애환을 노래한 뛰어난 시였다. 1937년 첫 시집 ‘분수령’을 내고, 이어 그 이듬해 두 번째 시집 ‘낡은 집’을 도쿄에서 간행했다. 이 두 시집에서는 나라를 잃어버린 예민한 한 지식인이자 시인의 감수성이 고도의 긴장으로 활과 리라의 활처럼 팽팽한 언어로 꾸며져 있다. 광복 후 조선문학가동맹의 시분과 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간행한 ‘오랑캐꽃’에서도 그의 시작은 꽃을 피웠다. 그러나 북쪽 공산 치하에서 1956년 11월부터 조선작가동맹출판사 단행본 편집부 부주필로 일하면서 김일성을 찬양하는 등 해방전쟁의 투사로 전환한다.

‘원쑤의 가슴팍에 땅크를 굴리자’는 어마무시한 시어를 구사하는 혁명 투사가 되었다. 노동전투와 대남 혁명을 선동하는 언사로 아름다운 시인의 길을 접어버린 아까운 시인 가운데 한 분이다.

이용악의 고향 경성은 두만강을 경계로 육진이 설치되었던 여진과도 맞닿아있으면서 연해주로 이어지는 극동지역 이주민들의 통로였다. 조선조 말까지 결혼을 하고 머리를 기른 재가승이 있었으며 한화한 여진계의 사람들이 뒤섞여 살았던 곳이다. 이 지역은 변화의 물결이 두루 미치지 못하여 음운이나 어휘 면에서는 옛말을 많이 지니고 있다. 독특한 방언이 많이 남아 있는 이 지역을 방언학계에서는 ‘방언섬’이라 이르기도 한다. 특히 소리의 높낮이가 단어의 뜻을 구별해 주는 성조방언의 모습을 보여주는 면에서는 경상도 방언과 상당히 닮아있다. 모음은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의 여덟이다.‘외’는 대체로 ‘ㅙ’, ‘위’는 [wi], ‘의’는 ‘ㅣ’로 발음된다. 회령, 종성 등지에서는 반모음 ‘ㅣ’[y]가 탈락한 ‘돟다, 덕다, 탁실하다’와 같은 방언이 쓰인다. 북부의 회령, 종성, 온성 등지에서는 순자음 아래의 ‘ㆍ>ㅗ’ 변화가 현저하다. ‘모디(마디), 몯아바니(큰아버지), 볿다(밟다), 볼써(발써), 뽈다(빨다)’ 등의 예들이 보인다. 함경도 방언은 중세국어의 ‘ㅸ’‘ㅿ’‘ㅇ’은 대부분 ‘ㄱ’ ‘ㅂ’‘ㅅ’으로 나타나 경상도 방언과 매우 흡사한 모습이다.

“아낙도 우두머리도 돌볼 새 없이 갔단다/도래샘도 띳집도 버리고 강 건너로 쫓겨갔단다/고려 장군님 무지무지 쳐들어와/오랑캐는 가랑잎처럼 굴러갔단다/구름이 모여 골짝골짝을 구름이 홀로//백 년이 몇 백년이 뒤를 이어 흘러갔나/너는 오랑캐의 피 한 방울 받지 않았건만/오랑캐꽃/너는 돌가마도 털메투리도 모르는 오랑캐꽃/두 팔로 햇빛을 막아줄게/울어보렴 목놓아 울어나 보렴”

이용악의 ‘오랑캐꽃’을 읽으면 육진 지역에 혼거하는 여진족을 떠올리며 애상에 잠긴다. 빙 돌아서 흐르는 샘물인 ‘도래샘’, 벼처럼 생긴 띠로 엮은 지붕의 ‘띳집’, 돌 몇 개를 고아놓은 가마솥인 ‘돌가마’, 털로 된 신발인 ‘털메투리’. 이 모든 풍경과 물상은 여진족의 일상의 모습이다.

경성은 두만강을 건너면 ‘우라지오 바다’에 면하고 ‘아라사 벌판’으로 그리고 간도로 진출하는 관문인 국경 마을이다. 이용악의 시는 이별로 분열되는 변방에서 이향과 귀향의 악순환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어둠과 고통을 몸으로 체험한 기록이다.

“땀내 나는/고달픈 사색 그 복판에/소낙비 맞은 허수애비가 그리어졌다/모초리 수염을 꺼리는 허수애비여/주잖은 너의 귀에/풀피리 소리마저 멀어졌나봐” 이용악의 ‘소낙비 맞은 허수애비’에서 ‘허수애비’, ‘모초리’, ‘주잖은’과 같이 간간히 섞여있는 함경도 방언은 떠나온 고향이 못내 그리운 실향민의 슬픈 모습이 보인다. 그의 시집 ‘분수령’의 ‘만추(晩秋)’에서는 고향을 등지고 새로운 삶의 터전을 찾아 나선 유민들의 암담한 비애와 고통의 심도를 전해준다. 그의 ‘두메산골 1’은 함경북도의 전통적인 풍물과 향토색 짙은 두메산골의 냄새에 물씬 젖어들게 한다.‘물구지떡 내음새’라든가‘썩달나무 썩는 냄새 유달리 향그러웠다’라는 향토의 방언으로 “주인장은 매사냥을 다니다가/바위틈에서 죽었다는 주막집에서/오래오래 옛말처럼 살고 싶었다”고 고백하고 있다. 이용악의 또 다른 절창인 ‘전라도 가시내’라는 시에서는 이향에서 만난 전라도 가시내에 대한 애틋한 동족의 의식, 식민과 함께 밀려든 역사의 무상함, 반전된 역사적 현실 앞에 좌절된 연민의 정을 각기 다른 방언으로 토로하고 있다. 아름다운 시인이 이념의 권좌 앞에 결국 무릎을 꿇고 말았다. 친일과 김일성 혁명의 붉은 깃발의 프로파간다로 무너져 버린 이용악은 애달픈 시인이다.

이상규의 詩와 方言이야기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