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中企 하도급거래 공정성 지수 소폭 개선

심상선기자
등록일 2024-08-20 18:24 게재일 2024-08-21 6면
스크랩버튼
올해 77.92… 금속·제철 업종 ↑
올해 중소기업 하도급거래 공정성지수가 소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중소기업중앙회가 발표한 ‘2024년 중소기업 하도급거래 공정성수준 조사’에 따르면 올해 전체업종의 거래공정성지수는 77.92로, 지난해보다 0.68점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업종별로는 금속·제철(76.25→78.72, 2.47점 상승), 기타기계장비·운송장비(76.24→77.98, 1.74점 상승)가 지난해보다 올랐으나, 자동차(77.09→76.79, 0.3점 하락), 고무플라스틱·비금속(78.36→77.35, 1.01점 하락) 등의 지수는 떨어졌다.

업종별 거래공정성지수를 계약단계별로 세분화해 분석한 결과 금속·제철업종은 계약·단가체결(71.24→76.24, 5.0점 상승), 납품조건(79.64→82.73, 3.09점 상승), 대금결제(74.65→78.7, 4.05점 상승) 분야의 지수가 개선됐다.

하지만, 고무플라스틱·비금속업종은 납품조건(84.12→82.76, 1.36점 하락), 대금결제(79.2→76.5, 2.7점 하락) 분야의 공정성 수준이 악화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금속·제철업종의 계약·단가체결, 납품조건, 대금결제 분야의 공정성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지난 2022년 하반기 이후 철광석 가격의 안정과 더불어 같은 해 9월부터 시행한 납품대금 연동제 시범사업에서 연동대상 주요 원재료 중 철강류가 49.9%나 차지한 점이 ‘금속·제철업종’ 지수 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추정된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특히 거래공정성지수가 악화한 업종에 대해서는 공정거래위원회 등 관련 부처의 적극적인 실태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

경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