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소년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픽시 자전거’(fixed-gear bicycle)의 안전성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이를 예방할 제도적 대책은 여전히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지난 24일 포항시 북구 영일대 해수욕장. 픽시 자전거를 탄 학생들이 산책 중인 시민들 곁을 빠르게 지나갔다. 일부는 뒷바퀴를 좌우로 미끄러뜨리며 속도를 줄이는 ‘스키딩(skidding)’ 을 연습하면서 해변 일대를 오갔다.
인근 공터에선 ‘스탠딩’ 트릭을 시도하던 학생들이 핸들을 틀고 페달 위에서 균형을 잡으려다 연이어 넘어졌다. 이들에게 헬멧이나 보호장비를 착용한 모습은 찾아볼 수 없었다.
시민 장 모(42) 씨는 “아들이 픽시 자전거를 사달라고 졸랐지만, 실제로 타는 모습을 보니 안 사주길 잘했다”며 “헬멧도 없이 이어폰을 끼거나 블루투스 스피커로 음악을 틀고 달리는 아이들을 보면 아찔하다”고 말했다.
양 모(47) 씨도 “올해만 픽시 관련 가정통신문을 두 번이나 받았다”며 “부모들이 안전장비 착용과 브레이크 장착 여부 같은 안전에 더 신경 써야 한다”고 지적했다.
픽시는 원래 경륜용 자전거로 페달과 바퀴가 고정된 구조다. 브레이크가 없어 멈추려면 역방향으로 페달을 밟거나 발로 땅을 짚어야 하며 스키딩 기술을 활용하기도 한다. 제동이 어려워 내리막길이나 고속 주행 중에는 속도 조절이 힘들고 돌발 상황에도 쉽게 대응하지 못한다.
시중 제품에는 대부분 브레이크가 장착돼 있지만, 청소년들 사이에선 이를 일부러 제거하는 것이 ‘멋’으로 여겨지고 있다.
중학생 박 모(14) 군은 “처음엔 브레이크를 달았지만 친구들이 ‘겁쟁이’라고 놀려서 결국 떼버렸다”며 “넘어져 깁스를 한 적도 있지만, 속도감과 트릭 성공의 짜릿함 때문에 다시 탄다”고 밝혔다.
픽시는 웹툰, 숏폼 영상, SNS 등을 통해 확산됐다. 세련된 디자인과 가벼운 무게, 또래 친구들과 함께 타면서 느끼는 유대감이 초· 중학생들 사이에서 유행을 부추기고 있다. 하지만 일부 콘텐츠에선 브레이크 제거법과 위험한 기술을 무분별하게 소개하면서 사고 위험을 키우고 있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 따르면 픽시는 시속 10km에서 5.5배, 20km에선 일반 자전거보다 제동거리가 13.5배 길다. 포항시의 자전거 사고 건수는 2021년 117건, 2022년 110건, 2023년 97건으로 감소하던 추세였지만 2024년 143건으로 급증하며 5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문제는 법과 제도가 여전히 미흡하다는 점이다.
픽시는 도로교통법상 자전거 구조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자전거도로와 인도 통행은 불법이다. 안전모 착용도 법적 의무가 아니다.
포항남부경찰서 관계자는 “픽시 자전거는 법적 지위부터 명확히 해야 하고, 정부 가이드라인 마련과 함께 학교·가정의 안전 교육도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보규기자 kbogyu84@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