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 연속 기획-해양쓰레기 처리 지구촌 공동의 고민
한계에 다다른 환경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지구를 위해 세계 각국은 지속가능한 환경 보전을 위한 대책 마련을 고심 중이다. 특히 해양쓰레기는 세계의 바다를 급속하게 망가트리고 있다. 이는 생태계와 연안 경제, 그리고 오염된 해산물을 먹는 수십억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2008년 세계 최초로 법정계획으로서 해양쓰레기 관리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2019년에는 2030년까지 해양 플라스틱의 50%를 저감하는 목표를 담은 ‘해양 플라스틱 저감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바다의 날을 맞이해 ‘해양플라스틱 제로화 원년’을 선포하기도 했다. 같은 해 해양수산부는 2020년 주요 예산 편성 방향 1순위로 “항만 지역 미세먼지와 해양쓰레기 저감에 집중 투자한다”는 공식 입장을 밝힌 바 있다.
해양쓰레기 문제는 정부만의 현안은 아니다. 포항시에서 간헐적으로 다뤄지던 해양쓰레기 문제는 지난 2020년을 기점으로 시와 포스코 간 공동 사업을 추진하는 등 지자체와 기업 간의 주요한 지속 가능한 지구 보전 문제로 부상했다.
포항 3년간 해양쓰레기 1626t 수거
폐어망·어구 수거량 3년전比 2배
폐어구 인한 어업피해 연 4100억
시, 2030년 해양 플라스틱 50%↓
포스코·민관 자율적 해양정화 등
태풍 쓰레기 수거 인력·장비 지원
세계바다 버려지는 플라스틱양 심각
50년 내 프랑스 국토 면적 덮을 수도
해양친환경발전소 등 기술개발 관심
△포항시 3년간 해양쓰레기 1626t 수거…이전 3년 대비 2배나 증가
포항시는 포스코와 함께 ‘Save Our Ocean’ 해양 환경 정화 사업을 통해 지난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1626t의 해양쓰레기를 수거했다. 이는 사업 시행 전인 2018~2020년까지 3년과 비교하면 폐어망·어구 수거량이 2배 정도 증가한 수치다.
해양쓰레기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자 포항시는 포스코와 2021년부터 민관협력으로 ▲조업 중 인양 쓰레기 수매 ▲어촌계별 쓰레기 수거 장비 지원 ▲영일만 해역 자율 해양 정화 활동 등을 추진했다.
하지만 어업인들의 조업 활동 중 인양한 폐어망, 폐통발 등의 해양쓰레기는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한 실정이다. 폐어망 어구로 인한 해양오염은 전국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발생하는 해양 플라스틱 6.7만t의 54%인 3.6만t이 발생하고, 폐어구로 인한 유령어업으로 연간 4100억 원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포항시 해양쓰레기 발생량, 종류, 처리예산
포항시는 정부가 2019년, 2030년까지 해양 플라스틱의 50%를 저감하겠다는 목표를 담은 ‘해양 플라스틱 저감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집중적으로 투자해왔다.
포항시의 해양쓰레기 처리예산은 2021년 발생량 750t에 해양쓰레기 수거 사업 3억1000만원, 태풍 카눈 피해복구 2억500만원에서 2022년 발생량 800t 해양쓰레기수거사업 3억1000만원, 태풍 카눈 피해복구 4억2000만원으로 확대 편성했다.
해안가 읍면동에서 인력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쓰레기는 굴삭기를 임차해 처리하고, 포항시 해양항만과에서 업체에 의뢰해 처리하고 있다. 모래까지 같이 수거되는 해양쓰레기는 사토 처리도 하고 있다.
△정책과제만이 아닌, 시민 전체가 체감해야 할 환경 문제
간헐적으로 다뤄지던 해양쓰레기 문제는 2000년대 이후에는 플라스틱이라는 소재를 중심으로 해양쓰레기가 독립적인 의제로서 다뤄지기 시작했다. 특히 유엔은 지속가능발전목표(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와 연계해 해양쓰레기, 해양 플라스틱을 주요한 사안으로 지적했다.
유넵(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UNEP)이 발표한 해양쓰레기 대응 전략인 호놀룰루 전략(NOAA and UNEP, 2011)과 2012년 해양쓰레기에 관한 글로벌 파트너십 형성 전후를 기점으로 이에 대한 공동행동이 강조되고 있다.
WWF나 Green Peace 등으로 대표되는 국제 NGO 역시 해양쓰레기를 세계적으로 문제화하는 데 기여했다. 해양은 해양쓰레기로부터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서 재구성되고 있다.
△인류를 위협하는 가장 작은 적, 심해 점령 플라스틱
매년, 세계 바다에 버려지는 플라스틱의 양이 최대 1천만t에 달한다. 10,000,000t. 100억㎏. 쉽게 짐작이 되지 않는 너무나도 큰 양이다. 알 자지라(Al Jazeera)의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의 바다 플라스틱을 모아서 납작하게 펼쳤을 때 대략 카타르 크기의 지역을 덮을 수 있다. 그리고 50년 안에, 플라스틱 쓰레기의 면적은 프랑스의 국토 면적보다 더 커질 수 있다. 플라스틱이 세계의 바다를 옥죄어오면서 수십억 인류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해양은 하나의 또 다른 인류의 가공할 쓰레기장이다. 매년 1500만t의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바다로 유입된다. 특유의 난분해성(분해가 잘 되지 않는 특징)은 우리 생활에 유익한 반면, 심해에서도 사라지지 않는 골칫거리 쓰레기다. 일본 타쿠 아무라(Taku Omura)팀이 최근 플라스틱 심해도 분석 연구에서 심해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어떻게 생분해되는지, 그 생분해를 돕는 미생물 집단의 특징은 어떤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연구 결과를 네이처(nature)지에 게재했다.
△파악조차 어려운 미세플라스틱 쓰레기 피해
해양수산부 해양환경정보포털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 수거한 해양쓰레기는 약 12만6000t으로, 6년 전인 2017년(8만2000t)에 비해 54% 급증했다. 2013년 4만9000t에 불과했던 집계치는 2020년 13만8000t으로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1년에는 12만1000t으로 감소했지만, 지난해 다시 5000t(4%) 늘어났다. 정부가 지역별 해안 쓰레기 모니터링 통계를 매년 공개하고 있으나, 실제로 얼마나 발생했는지는 정확히 파악할 수 없는 상황이다.
겉으로 드러난 해양오염보다 우리가 보지 못하는 영역은 더 심각할지도 모른다. 물의 표면 아래 떠다니는 미세 플라스틱은 전체 해양 플라스틱의 약 99%를 차지한다. 최대 75조 개의 미세 플라스틱 조각들이 바다에 떠다닌다. 해산물에 축적된 플라스틱이 우리의 식탁 위에 오르는 것은 그중 하나다.
△인천시, 100t급 해양환경정화선 1척 더 건립할 계획
한강을 통해 유입되는 매년 수만t의 쓰레기와 폐어구들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는 인천시는 2022년 해양쓰레기 수거 관리 체계를 본격 개선했다. 해안가 쓰레기 불법투기 감시 인력을 기존 11명에서 36명으로 늘리고, 대상 지역도 대폭 확대할 방침이다.
또 어민들이 수거한 해양쓰레기를 사들이는 사업에 총 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해양쓰레기 집하장도 5곳을 추가 설치한다. 올해 말까지 75억 원을 들여 100t급 해양환경정화선 1척을 더 건조한다.
현재 인천의 해양오염도 조사, 미세플라스틱 조사 등에 투입하는 해양환경정화선은 85t급 ‘씨클린호’가 유일하다. 지난해 무인도 등에서 모두 22t의 해양쓰레기를 처리했다.
△세계 최초 해양쓰레기 수거용 액화천연가스·수소 하이브리드 선박 신기술
거둬들인 해양쓰레기를 육상에서 재활용·소각·매립하던 처리기술이 변화하고 있다. 배 위에서 해양쓰레기 수거와 처리를 한꺼번에 하는 신개념 LNG·수소 하이브리드 특수선박 기술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아이디어는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에서 나왔다. 지난해 2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다부처 공동 사업에 선정되면서 2026년까지 국비 278억 원, 부산시·울산시·경남도비 100억~130억 원, 민간기관 90억 원 등 500여억 원의 사업비를 투자받기로 했다. 상용화 시기는 2027년으로 잡고 있다.
사업의 성패를 가를 핵심 기술은 영하 163도의 냉열을 이용해 해양쓰레기를 얼려서 분쇄하는 기술이다. 해양쓰레기를 배 위에서 수거·처리해서 수소를 만들면 해상과 육상을 오가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고, 육상 처리에서 생기는 매립·소각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윤희정·장은희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