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영양 연당리 서석지(瑞石池) 은행나무
하늘에서 녹색의 빗물이 봄바람 붓끝에 휘몰아쳐 산천을 채색하고 있다. 겨울의 텅 빈 흑백의 산야에 풍성한 녹색의 물결이 어제와 오늘이 다르게 출렁이며 춤을 추고 있다. 녹색의 빗물이 서석지를 녹색으로 물들이고 처마 기와 골 끝에 줄지어 마당으로 떨어지는 녹색 빗물은 작은 웅덩이를 만들어 동그라미를 그리며 사라진다.
비 내리는 오월, 정원의 경정 마루 끝에 앉아 있노라니 몸과 마음이 녹색으로 물들어 간다. 성리학에 심취한 정원의 주인 정영방(鄭榮邦)은 경북 영양 자양산의 남쪽 자락에 터를 잡고 거처할 집을 짓고는 자연에 철학을 담은 정자와 연못이 있는 아담한 정원을 조성했다.
연못은 사각형의 돌출된 부분을 두어 선비들이 좋아하는 송죽매국(松竹梅菊)을 심어 그 본성을 노래하며 삶의 본보기를 삼았다. 동북쪽 귀퉁이에 연못으로 물을 끌어들이는 도랑을 내고, 그 대각점이 되는 서남쪽 귀퉁이에 물이 흘러 나가는 도랑을 두었다. 바깥 물이 들어오면 자연히 넘쳐 나가는 자연의 섭리를 따랐다.
정자·연못·은행나무 ‘3박자’로 채운 정원
성리학에 심취한 정영방 선생 손에 탄생
생태적 정원에 인문학 옷 입힌 혜안 감탄
부인의 정성으로 가마로 옮긴 은행나무
평범한 가족서 ‘정원의 주인’으로 유명세
연못 안에 솟은 서석군(瑞石群)에서 유래하여 서석지(瑞石池)라 이름을 지었다. 크고 작은 20여 개 돌들이 각양각색의 형태로 솟아 있는 것을 보고 돌 하나하나에 선유석(仙遊石)이니 통진교(通眞橋)니 하면서 이름을 붙여 의미를 부여했다.
이는 정원 주인의 학문과 인생관은 물론 은둔생활의 이상적 경지와 자연의 오묘함과 아름다움을 찬양하고 심취하는 심성을 나타낸 것이리라. 정자의 네모난 기둥에 원기둥 하나는 양을 표시하고 둥근 기둥에는 네모난 고리를, 네모난 기둥에는 둥근 고리로 음양의 사상을 재현했다.
정자의 건축과 연못의 조성에도 성리학의 이기론(理氣論) 철학을 표현했다. 우주와 인간의 본질을 이(理)와 기(氣)의 상호작용이라면서 이(理)는 불변하는 원리나 이치를, 기(氣)는 물질적 에너지를 의미했다. 인간의 본성과 정서, 도덕적 행위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며, 인간이 선한 이(理)를 실현하도록 강조했다.
성리학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통치 이념으로 채택되었고, 사회적 질서와 윤리적 가치를 강화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인간의 심성을 탐구하고,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본성을 강조했으나 관념적인 면이 강하여 개인의 자유나 개성, 실사구시적인 면에서는 등한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과거의 의미와는 달리 오늘날 이곳을 찾는 방문객은 세 부류로 나눌 수 있지 않을까 싶다. 고건축물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경정(敬亭)이라는 정자와 그 부속건물을, 연못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서석지를, 나처럼 노거수에 관심이 있는 사람은 은행나무를 보러 오지 않을까 싶다. 삼종을 한 세트로 묶어서 연당마을 서석지(瑞石池)로 통한다. 연못(蓮池)은 땅을 파거나 흐르는 물을 막아서 물을 가두어 놓은 곳을 의미한다. 못(池)은 대개 자연스럽게 형성된 느낌이 나지만, 연못이라 하면 사람이 미관을 위해 정원 등 인공적으로 만든 느낌이 난다. 연못은 스스로 작은 생태계를 구성하므로 자연스레 오랫동안 보존될수록 희귀생물의 보고로 변한다. 생태적인 정원의 연못에 인문학의 옷을 입혀 이상적인 삶을 엿볼 수 있다.
녹색에 물들면서 그 옛날 조선의 성리학에서 오늘날 생태학의 정원으로 바라보았다. 연못은 주택에 필요한 부속품이다. 삶에 있어서 건강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 연못은 건강을 답보하는 예방 의학적 측면에서도 또한 삶의 정서를 살찌우는 심리적 측면에서도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연못은 정원과 함께 더운 여름에는 높은 기온을 낮추고 추운 겨울에는 낮은 기온을 높인다. 또한 습도를 조절하는 등 미세 기후를 조절하여 우리 건강에 도움을 준다. 미생물, 곤충, 새 등 다양한 생명체들이 살아가는 데 물을 제공하는 등 많은 생명체를 불러들여 자연 생태계의 다양성을 놓인다.
정원의 미적 아름다움은 정원의 주인이나 찾아오는 방문객들에게 정서를 순화시켜 심미적인 감흥에 젖어 들게 한다. 인공으로 만든 연못이 자연과 조화하여 아름다움을 더할 뿐만 아니라 작은 생태계의 핵심 구역으로 그 기능을 발휘하기도 한다.
특히 은행나무는 석문 정영방 선생이 본래 의도한 바는 아니지만, 부인이 가마 안에 은행나무를 가지고 와서 심었다고 하니 참으로 선생의 아내다운 면모를 유감없이 발휘한 신의 한 수라는 생각이 든다. 은행나무는 처음에는 정원의 일개 구성원인 평범한 가족이었으나 세월의 연륜이 쌓이면서 성장하여 이제는 정원의 주인격이 되었다. 언젠가 모르게 담장을 뛰어넘고 연못에 그림자를 드리우며 자신의 존재감을 키워갔다. 이제는 어릴 적에 쳐다보았던 정자도 송죽매국도 모두 은행나무를 쳐다보는 격이 되었다.
나이가 많아 주민들로부터 어른 대접으로 지팡이도 선물 받았다. 그 누구도 함부로 볼 수 없는 석문에 있는 거대한 촛대, 선바위를 볼 수 있고, 석벽을 끼고 흐르는 남이포 푸른 물도 볼 수 있다. 의도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정원뿐만 아니라 마을의 품격도 높여 주고 유명세는 날이 갈수록 하늘을 솟구치고 있다. 이제는 서석지 하면 은행나무 노거수를 빼놓을 수 없게 되었다.
까치는 은행나무에 둥지를 틀고 아침마다 반가운 소식을 전한다. 까치 가족이 오순도순 살아가는 모습에서 반포지효(反哺之孝)라는 교훈을 얻는다. 까마귀 새끼가 자라서 늙은 어미에게 먹이를 물어다 주는 효라는 뜻으로, 자식이 자라서 어버이의 은혜에 보답하는 효성을 이르는 말이다.
또 은행나무는 행단(杏壇)을 생각하게 하고 행단은 공자를 떠올리게 한다. 공자는 15세에 지학(志學), 학문에 뜻을 두었고, 30세 이립(而立), 학문에 기초를 세웠다. 40세 불혹(不惑), 사물의 이치에 대해서 의문 나는 점이 없었고, 50세 지명(知命), 천명을 알았다. 60세 이순(耳順), 남의 말을 순순히 받아들일 수 있었고, 70세 종심(從心), 뜻대로 행하여도 도에 어긋나지 않았다고 한다. 은행나무 아래에서 공자의 일생을 생각하면서 또 하나의 교훈을 얻는다.
서석지를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정원의 아름다움과 정자와 연못의 오묘함만 설명할 것이 아니라 정원의 연못과 은행나무의 생태와 문화를 설명하고 인문학의 옷을 입혀 주었으면 얼마나 좋을까. 아내는 나를 가만히 쳐다보더니 말했다. “당신은 참으로 행복한 사람이다,” 왜? “이렇게 아름다운 좋은 곳에 와서 그 옛날의 발자취를 더듬고 오늘날 문학의 옷을 입혀 스스로 침묵 속에 감동과 환희의 시간을 가지니 더 무엇을 바랄 것인가.”라고 말했다.
그렇다. 비를 맞으면서 마음 내키는 대로 행동하는 나 자신을 잊고 있다. 고금을 드나들며 무아지경(無我之境)에 빠져 있다고 할까.
영양 연당마을 서석지(瑞石池)는…
서석지는 성리학자이며 문인인 정영방(鄭榮邦)이 1613년에 조선 광해군 시대 축조하였다고 전한다. 은행나무 나이는 440살, 키는 15m, 가슴높이의 둘레는 6m가 넘는다. 수관 폭이 24m이고 앉은 자리 넓이는 130여 평이나 된다. 담양의 소쇄원(瀟灑園), 보길도 세연정(洗然亭)과 함께 서서지 정원을 우리나라 3대 민간 정원으로 꼽았다. 경상북도 영양군 입암면 연당리 394-1 위치해 있으며, 중요민속자료 제108호이기도 하다.
/글·사진=장은재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