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경북 문경 돌리네 습지 숲
하천 주변도 아니고 산 정상에 람사르가 지정한 습지가 있다고? 눈이 휘둥그레지며 놀란 표정으로 반문한 대붕 아우와 함께 직접 그 현장을 답사하기 위해 문경 돌리네 습지로 향했다. 돌리네 습지가 위치한 도리실 마을은 문경시 산북면 우곡리 읍실 마을에서 산 정상으로 1.2km 더 올라가야 했다.
우곡리 읍실 마을만 해도 그렇다. 대승사로 가는 도로를 벗어나 산자락을 부여잡고 굽이 돌고 돌면서 산을 올라야만 도착할 수 있었다. 옛날 같으면 전쟁이 일어나도 모를 깊은 산골에 숨은 마을이었다. 산속 마을답게 마을 어귀에는 수백 년 넘은 느티나무 노거수가 군집을 이루어 살아가고 있었다.
나무줄기 둘레만도 5m나 되는 느티나무 노거수에서 마을의 힘찬 기운을 느낄 수 있었다. 노거수는 마을의 상징물이며 수호신으로 마을의 품격을 높여주었다. 도리실 마을은 이제 태고의 습지로 돌아가 전설로 남고 음실 마을이 돌리네 습지의 주인이 되었다.
돌리네 습지 2017년 람사르 습지 지정
희귀식물과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며
지질학·생태학적으로 가치 인정받아
한때 과수원과 논밭으로 쓰이던 땅
이제는 생명의 숨결을 품은 보고로
습지와 사람, 두 세계 나란히 걸으며
자연과 인간 공존하는 삶의 길 일깨워
돌리네 습지는 석회암 지대에 형성된 국내 유일의 카르스트 습지로서, 2017년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었다. 돌리네라는 독특한 지형 속에 희귀식물과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며, 지질학적, 생태학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람사르 지정은 습지가 지닌 생물다양성과 수문학적 기능을 국제적으로 공유하고 후세에 전승해야 할 자산으로 보존할 의무를 부여한 것이다. 또한 지역 주민들에게는 지속 가능한 이용을 통해 생태관광과 교육 자원으로 발전시킬 기회를 열어 주어, 자연 보전과 지역 사회의 공존이라는 중요한 가치를 담고 있었다.
문경 돌리네 습지는 한때 과수원과 논밭으로 쓰이던 땅이 이제는 생명의 숨결을 품은 보고가 되었다. 농약이 사라진 자리에 풀꽃이 돌아오고, 새와 곤충이 다시 날아들어 자연성이 회복되자 마을은 활기가 넘쳤다. 주민들은 습지를 중심으로 생태관광과 환경교육에 나서며 새로운 소득을 얻었고, 마을은 행정의 지원 속에 주거와 생활 인프라가 정비되어 삶의 질도 한층 빛을 더했다. 습지와 사람, 두 세계가 나란히 걸으며 서로를 살리는 윈윈의 길이 열린 것이다. 습지의 생태적 가치를 인식하지 못한 지난 시절, 습지를 메워 주택, 산업단지, 공용지로 사용하여 가뭄과 홍수가 빈번하였고 생물다양성 감소 등 안타까운 일을 우리는 기억하고 있다.
석회암 지대가 품은 습지는 빗물을 저장해 맑은 물을 선물하고, 홍수와 가뭄을 완화하며 천연의 방패가 되어 주었다. 멸종위기 생물이 깃들고 희귀식물이 자라는 곳, 그 풍경은 자연의 장면을 넘어 인간의 삶을 지탱하는 생태계의 어머니와도 같다. 또한 고요히 잠든 습지는 사람들의 마음을 씻어 내고, 역사와 시간이 새겨진 풍경은 마음의 쉼터가 되어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삶의 길을 일깨워 주었다.
습지 숲은 물과 숲이 만난 신비로운 세계이다. 물에 잠긴 뿌리와 습지에 기대어 자라는 나무들, 그 사이를 누비는 새와 양서류, 곤충들이 어울려 만들어내는 다양성은 생태계의 든든한 기둥이 된다. 그 풍요로운 생명력은 인간에게 식량과 의약품, 맑은 공기와 물을 내어주며, 동시에 영감과 문화, 정신적 위안을 건네준다. 돌리네 습지는 그렇게 다양성과 조화 속에서 인간과 자연이 함께 살아가는 길을 보여주는 살아 있는 서사시이다.
돌리네 습지는 굴봉산 정상부에 아늑히 자리한 산지형 습지다. 이곳은 육상 초원 습지 생태계가 공존하는 드문 공간으로, 좁은 면적에도 꼬리진달래, 낙지다리, 쥐방울덩굴, 들통발 같은 희귀 식물이 피어나고, 삵과 수달, 담비가 숲을 누비며, 새매와 붉은배새매, 원앙, 수리부엉이, 소쩍새, 황조롱이 같은 멸종위기 조류가 살아왔다. 처음 조사에서는 산림청이 지정한 위기 식물 3종을 비롯해 731종의 야생생물이 확인되었으나, 주민들의 보호와 보전의 손길이 더해지면서 지금은 200여 종이 늘어난 932종의 생명이 해발 290미터 바닥 위에서 어우러진다. 돌리네 습지는 그렇게 작은 그릇에 큰 생명을 담아낸, 풍요로운 생태의 무대가 되었다.
돌리네 습지가 품은 마을의 옛 지명들은 세월을 넘어 살아 있는 이야기로 전설이 되어가고 있다. 동그랗게 돈 모양에서 비롯된 돌실(도리실) 마을, 제사를 지내던 제궁골, 참새가 지저귀던 참새골, 그리고 천 년 된 팽나무의 이름을 남긴 팽나모리까지 이름마다 마을 사람들의 삶과 신앙이 깃들어 있다. 옥황상제의 병을 낫게 했다는 전설의 옥녀샘, 나뭇가지가 동서로 갈라져 나무꾼들의 쉼터가 된 동서나무, 습지를 넘어가는 돌재 고개, 바다라 불린 서긋바다와 가파른 암벽 서긋이마, 성황나무가 있던 서낭굿재 또한 기억 속 풍경으로 남아 있다. 옹기를 굽던 정골, 참나무가 빽빽하던 참나무배기, 소의 입을 닮은 우구지골과 소의 뿔에 비유된 각골에 이르기까지 그 옛날 사람들의 눈과 마음이 빚어낸 이름들은 삶의 흔적이자 전설처럼 지금도 습지와 마을에 숨 쉬고 있다.
그 옛 삶의 이야기를 들려주던 김한웅 문화해설가의 목소리에는 세월을 꿰뚫는 향수가 배어 있었다. 과수원이던 땅, 아이들의 놀이터였던 습지, 겨울이면 얼음판 위에서 스케이트를 타던 추억 등 모두가 생생한 삶의 무대였다. 버드나무 껍질로 키와 소쿠리를 엮고, 메기와 붕어를 잡아 시장에 내다 팔던 시절, 습지는 마을의 생명줄이자 보물창고였다. 장마철 두 달 동안 잠긴 물 때문에, 농사는 대마와 담배밭으로 변하고 그로 인해 물동이를 등에 지고 또 머리에 이고는 힘든 비탈길 논밭을 오르내렸다. 그뿐만 아니다. 황토에 발이 빠져 오르내리던 고단한 삶은 이제 이 땅의 기억이 되었다. 세월이 흘러 70가구의 마을은 23가구만 남아 노년의 주민들이 조용히 지켜가지만, 주말이면 수백 명이 이곳을 찾아오고 서울에서 먼 길을 달려오는 발걸음도 있다. 식당 하나 없는 불편함조차 오히려 순박한 정취로 어우러지고, 무료로 열려 있는 습지는 여전히 마을과 사람을 품으며 과거와 현재를 잇는 살아 있는 이야기의 무대가 되고 있다.
머루와 다래, 으름과 오미자가 얽히고설켜 만든 300미터의 초록 터널은 한 걸음마다 향긋한 내음을 흘려내며 우리를 맞았다. 그 길 끝에 모습을 드러낸 돌리네 습지는 산 정상에 숨어 있는 또 하나의 세계, 마치 하늘이 내려앉은 신천지 같았다. 연못 위에 걸린 구름은 물결에 흔들리며 빛을 쏟아냈고, 그 곁을 산책하는 우리는 잠시나마 신선이 된 듯 가벼웠다. 전망대에서 대붕 아우와 나란히 사진을 찍으며, 전설로만 남은 도리실 마을의 고단한 삶을 떠올렸다. 그것은 슬픔이 아니라 추억이 되어, 우리 마음속에 한 장의 그림처럼 새겨졌다. 전동차를 타고 돌아오는 길, 다시 지나던 덩굴 터널 속에서 차를 세우고 주워 먹은 다래 한 줌은 달콤하고 향긋했다. 아우가 “이 맛은 잊을 수 없겠다”라며 웃었을 때, 돌리네 습지는 이미 우리의 기억 속에 영원히 머무는 풍경이 되었다.
/글·사진=장은재 작가
람사르 습지 지정 협약의 주요 내용은…
정식 명칭 : 습지에 관한 특별히 중요한 국제협약
채택 : 1971년 2월 2일, 이란 람사르에서 채택
목적 : 세계적으로 중요한 습지를 보전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촉진
행정 기구 : 스위스 글란(Gland) 소재 IUCN 사무국
주요 내용 : 습지는 철새 이동 등으로 국제 협력이 필수, 공동 연구, 정보 교류, 공동 관리
돌리네 습지 지정일 : 2017년 6월 15일 (환경부 고시 제2017-117호)
위치 :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우곡리 굴봉산 정상부. 지정 면적 : 49만 4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