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안동 주하리 경류정 뚝향나무 노거수
춘 사월, 화창한 봄날, 햇볕은 나무에 옷을 입히고 새들에게 사랑의 보금자리를 만들어 주느라 날은 짧기만 하다. 상춘객들은 어디 어느 곳이 더 좋다느니 화려하다느니 나름의 관광지 경험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내 눈에 도긴개긴이란 생각이 든다.
어디가 더 경치가 좋고 나쁨의 우열을 가릴 수 없다. 가는 어느 곳이나 보이는 어느 곳이나 아름다운 봄꽃으로 단장되어 움츠렸던 마음을 펴게 한다. 나목의 가지에 연노란 잎이 나자, 만개한 벚꽃이 나무와 이별을 고한다.
조선 세종 때 선산부사 역임한 이정
귀향 때 가져온 3그루 중 유일하게 생존
수평으로 처지는 나무 성질과 반대로
위아래 지지대 세워 분재형태 만들어
반항의 몸부림일까 분노의 표현일까
인위적 수형에 감탄… 참으로 모순적
하늘을 종횡무진 날아다니다 꽃비로 변하여 도로에는 꽃길로 수놓는다. 자동차 창문을 살짝 열고 봄바람 기운을 맞이한다. 날아든 하얀 꽃잎이 운전석 옆자리에 살포시 내려앉아 나즐로(나 홀로 즐겁게) 노거수 탐방을 함께 하잔다.
안동 와룡면 주하리 마을로 향하는 농촌 시골길은 참으로 아기자기한 맛이 있다. 주변 산야는 봄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다. 오르막으로 오르는가 싶더니 또 내리막길이 나타나고 모퉁이를 돌고 나도 또 모퉁이가 나타나고, 곡선의 시골길은 한 편의 드라마와 같이 긴장과 설렘의 연속이다.
주하리 천연기념물 뚝향나무 노거수를 만나러 가는 날, 생각지도 못한 호사를 누릴 줄이야 누가 알리라. 봄의 풍경에 빠져 보니 더할 나위 없이 좋다. ‘진성 이씨(眞城李氏) 주촌종택(周村宗澤) 뚝향나무 천연기념물 제314호’라는 표지석 옆 주차장에 차를 주차하고 서 있는데 마침 주촌 종택에 거주하는 이세준 씨를 만나 뚝향나무에 대한 소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다.
조선 세종 때인 1430년경 선산부사를 지낸 이정(李楨)이 평안도 정주 판관으로 있을 때 가져와 심은 것이란다. 이정이 약산산성(藥山山城) 쌓기를 마치고 귀향하면서 세 그루의 향나무를 가지고 왔는데 도산면 온혜와 외손인 선산의 박 씨에게 각각 한 그루씩 주고, 남은 한 그루를 이곳에 심었는데 유일하게 살아남았다고 했다.
안내판에 “높이는 3.3m, 가슴높이의 둘레는 2.3m, 밑동 둘레는 2.4m, 가지 밑의 높이는 1.3m이고, 가지의 길이는 동쪽으로 5.8m, 서쪽으로 6.3m, 남쪽으로 5,5m, 북쪽으로 5.7m이다. 향나무와 비슷하지만 곧게 자라지 않고 전체가 옆으로 퍼지면서 자란다. 이 지방에서 많이 자라고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었다.
약산산성 쌓기를 마친 기념으로 향나무를 가지고 와서 심은 것으로 소위 기념식수목이며 명목인 셈이다. 우리 조상들은 아들딸을 낳았을 때 기념으로 소나무와 오동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그리고 장성한 후에는 딸의 경우 혼수 기념으로 오동나무는 장롱의 재목으로, 소나무는 장례식에 사용할 관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조상의 지혜가 돋보이는 기념식수목이다. 오늘날에도 이와 같은 기념일을 찾아 기념식수를 하면 어떨까.
주하리 뚝향나무를 노송으로 불렀다고 하는 이야기도 전한다. 노송운첩(老松韻帖)과 김성설, 이만인(1834~1897)이 지은 경류정노송기(慶流亭老松記) 도판을 보면 “우리 종가 경류정(慶流亭) 앞에는 만년송(萬年松) 한 그루가 있다. 가지와 줄기가 극히 구불구불 서리서리 얽혀서 엄연히 화개(華盖)를 우뚝 펼쳐놓은 것처럼 되었다. 높이는 겨우 몇 길도 안 되지만, 그 아래에는 백 명 정도를 수용할 수 있는, 참으로 기품인 송(松)이다. 그러나, 그 깊은 뿌리와 많은 가지, 무성한 잎으로 짙게 그늘진 모습은, 송과 떨어질 수 없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일찍이 덕을 힘쓰고 업적이 넓은 군자의 솜씨를 거치지 않았다면 이처럼 오래도록 무성하게 우거지지는 못했을 것이다”라고 기록되어 있다고 한다.
경류정노송기처럼 뚝향나무는 지금도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땅에서 뿌리를 내린 줄기는 비틀려 꼬였고 지상 1.3m 높이에서 여러 개의 가지를 내어 사방으로 뻗었는데, 밑으로 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8개 지지대를 받치고 있다.
그런 연유인지 몰라도 위로 자란 줄기는 아이스크림이 녹아내린 모양으로 줄기가 뭉쳐있었다. 거대한 하나의 뭉치로 뱀이 꽈리를 틀고 숨을 죽이고 있는 모습을 방불하게 했다. 한편으로는 파도치는 물결처럼 살아 움직이는 느낌으로와 닿았다. 많은 가지가 하나로 통일되고 단결된 모습의 견고함을 느끼게 했다.
밑으로 내려오지 못함에 대한 반항의 몸부림인지 자유 의지의 꺾임에 대한 분노의 표출인지 모를 일이다. 인위적인 행위의 제한에 신비로운 모습으로 다가와 보이지만, 뚝향나무 본래의 성질에 반하다 보니, 그야말로 괴이함이랄까 거대한 분재형의 예술품으로 우리 앞에 섰다. 여기에 더하여 문화재청에서는 삼각형으로 만들어 보겠다고 사람의 상투처럼 나무의 가지를 억지로 하늘로 뽑아 올리고 있다. 아래로는 지지대를 세워 못 내려가게 하고 위로는 높은 지지대를 세워 가지를 상투처럼 뽑아 올리고 있다.
뚝향나무는 한국 특산종으로 줄기가 똑바로 자라지 않고 가지는 비스듬히 자라다가 전체가 수평으로 퍼지는 점이 특징이다. 그런데 뚝향나무 본래의 성질에 반하는 이러한 행동이 오랜 세월은 괴이하면서도 아름다운 분재형의 예술작품으로 만들어 놓았다. 보지 않으면 믿기 어려운 수형의 모습에 그저 감탄할 따름이다. 나무 본래의 성질에 반하는 인위적인 수형의 모습에 감탄하고 있으니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뚝향나무 주변에는 벚나무, 단풍나무, 장미, 박태기나무, 철쭉나무 등 여러 종류의 나무들이 자라고 있었다. 세월이 흐를수록 이들 나무가 자라 뚝향나무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더 크기 전에 다른 곳으로 옮겨 주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 벚꽃이 뚝향나무에 하얗게 내려앉아 광합성 작용에 방해가 되고 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 지금도 뚝향나무 아래 통풍이 잘되지 않아 이끼가 무성하다. 습기가 차 나무줄기에는 병충해와 균이 침입하여 나무를 상하게 하지 않을까 싶다.
진성 이씨 이정이 심은 뚝향나무는 이제 이정의 분신으로 자리매김하여 후손뿐만 아니라 우리 모두에게 사랑을 받고 있다. 약산산성을 성공적으로 쌓은 기념으로 고향에 심은 뚝향나무가 이정의 정신으로 변하여 600여 년을 이어오고 있다. 경류정 뚝향나무라 부르면 어떨까. 경류정은 퇴계 선생이 이름 지은 별당으로 선생의 큰집 종택이기도 하다.
주변에 공원을 조성하여 주민이 뚝향나무 가지를 꺾어 삽목한 50년생 나무를 안동시에서 두 그루를 구입하여 2012년 3월 15일에 옮겨 후계목으로 심어 놓았다. 모두 어미나무처럼 형태를 잡아 키우고 있었다. 오랜 세월이 흐른 뒤에 후계목으로 어미나무 못지않게 우리 후손의 앞에 서서 그 신기한 모습을 뽐내고 있으리라 짐작해 본다.
안동 진성 이씨 종택(安東 眞城李氏宗宅)은…
14세기에 안동 지역에 정착한 송안군 이자수(松安君 李子脩)가 지었다고 전한다. 이자수는 진성 이씨의 시조 이석의 아들로 고려 시대의 문신이다.
종택은 본채와 별당, 그리고 사당, 행랑채, 방앗간채로 이루어져 있다. 본채는 안채와 사랑채가 안마당을 중심으로 ‘ㅁ’자형을 이루고 있으며, 성리학적 생활 규범에 따라 남성과 여성의 생활공간이 구분되어 있다.
본채 뒤편에 있는 사당은 내삼문이 있는 담장으로 둘러싸여서 독립적인 공간을 이루고 있다. 본채 왼쪽에 있는 별당은 이자수의 6대손인 이연이 성종 23년 1492년에 지었다고 한다. 별당의 이름인 경류정(慶流亭)은 조선 시대의 대학자 퇴계 이황(退溪 李滉)이 지었다. 지방민속자료 제72호다.
/글·사진=장은재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