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월 29일 저희 일행이 향한 곳은 마쓰야마를 대표하는 또 하나의 명소인 도고온천입니다. 도고온천은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 등장하는 유바바 온천장의 실제 모델로도 널리 알려져있지요. 일본 최초의 역사서인 ‘일본서기’에도 등장하는 도고온천은 무려 300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일본 최고의 온천입니다. 이토록 유서 깊은 도고 온천이 오늘날의 모습을 갖춘 것은 1894년 서구식과 일본식을 절충한 양식의 도고온천본관이 건설된 이후인데요.
이 건물은 2차 대전 당시 미군의 공습으로 마쓰야마시 전체 가옥의 55%가 파괴되는 상황에서도 살아남아 오늘날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저희 일행이 방문했을 때는 도고온천본관이 내부공사 중이어서 근처의 별관인 아스카오유에서 온천을 즐길 수 있었는데요. 다리를 다친 백로가 도고온천에서 상처를 치유했다는 전설에서 비롯된 것인지는 몰라도, 두 건물의 꼭대기에는 모두 백로 조형물이 있었습니다.
흥미로운 것은 도고 온천가에 일본의 문호인 나쓰메 소세키(1864~1916)의 흔적이 곳곳에 남아있다는 것입니다. 복원된 도고온천역에는 나쓰메 소세키의 소설 ‘도련님(坊っちゃん, 봇짱)’(1906)에도 등장하는 봇짱 열차 실물이 전시돼 있었으며, 근처에는 8시부터 22시까지 한 시간 간격으로 ‘도련님’의 등장인물이 나와 움직이는 ‘봇짱가라쿠리시계탑’이 있었고, 도고온천 상점가에서는 ‘도련님’과 관련된 각종 미니어처와 봇짱 당고를 팔기도 했습니다.
이것은 마쓰야마와 나쓰메 소세키가 맺은 인연의 결과입니다. 나쓰메 소세키는 28세이던 1895년 마쓰야마의 보통중학교에 교사로 부임하여, 이곳에서 1년간 생활했는데요. 이때 고교 동창이자 하이쿠 시인 마사오카 시키와 교류를 나누었으며, 무엇보다도 소세키의 명작 ‘도련님’을 낳는 여러 가지 경험을 했던 것입니다.
‘도련님’은 에돗코(江戸っ子, 도쿄에서 나고 자란 사람)인 봇짱(도련님)이 마쓰야마의 학교에 부임해 장난이 심한 학생들과 도덕성이 결여된 선생님들 사이에서 갈등을 겪다가 다시 도쿄로 돌아가는 이야기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마쓰야마 지역의 학생들과 선생님들이 짓궂고 음험한 면도 있지만, 봇짱 역시 무조건 자기만 옳다고 여기기에 마쓰야마 사람들이 더욱 부정적으로 보인 것인지도 모릅니다.
이 작품의 첫 번째 문장은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앞뒤 가리지 않는 성격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나는 손해만 봐왔다(親譲りの無鉄砲で子供の時から損ばかりしている.)”는 것인데요. 봇짱의 무모하고 저돌적인 성격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단어가 바로, 그 유명한 ‘무대포(無鉄砲, むてっぽう)’입니다. 결국 봇짱은 자신이 가장 싫어하던 교감에게 복수를 하고 도쿄로 돌아갑니다. 어쩌면 무대포인 봇짱이 살 수 있는 곳은 언제나 “도련님은 올곧고 고운 성품을 지녔어요”라고 칭찬만 해주며, 자신을 “끔찍이 귀여워해” 주는 기요가 사는 도쿄 뿐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도련님’의 봇짱을 생각할 때면, 늘 나쓰메 소세키의 강연 ‘나의 개인주의’(1914)가 떠오릅니다. 이 강연에서 소세키는 남의 흉내나 내는 ‘타인본위’에 대응하는 개념으로 개인주의를 주장했는데요. 이때의 개인주의는 “당파심이 없고 옳고 그름만 있는 주의”로서, 국가주의가 대세이던 당시의 시대 분위기와는 다른 것이었습니다.
주목할 것은 소세키가 개인주의는 필연적으로 남들이 모르는 외로움을 낳는다고 경고한 점입니다. 실제로 ‘도련님’의 봇짱은 불평불만으로 가득했던 마쓰야마를 떠나 도쿄로 돌아오지만, 곧 자신의 유일한 하인이자 친구이며 부모이기도 한 기요가 죽어 진정한 혼자가 되어 버립니다. 철저히 ‘자기본위’로만 생활했던 봇짱에게는 안타깝지만 당연한 결말이라는 생각도 드는군요.
‘도련님’에서도 도고 온천가는 매우 중요한 공간으로 등장합니다. 봇짱은 “다른 곳은 뭘 보나 도쿄의 발뒤꿈치에도 따라가지 못하지만, 온천만은 근사하다”고 생각합니다. 어찌나 온천이 맘에 들었는지, 봇짱은 하루라도 온천에 가지 않으면 “왠지 마음이 개운치가 않다”고 느낄 정도입니다. 그런데 이곳은 그토록 혐오하는 집과 학교와는 구분되는 비일상적인 장소가 아니었음이 곧 밝혀집니다. 사실 이곳에도 수많은 눈들이 있어, 봇짱이 경단이나 메밀국수를 먹거나, 욕탕에서 헤엄을 쳤다는 등의 사소한 사실까지도 낱낱이 감시당하고 있었으니까요. 그렇기에 ‘도련님’에 등장하는 도고온천은 일상의 괴로움과 모자람에서 벗어날 수 있는 비일상의 공간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비일상의 자유로움과 홀가분함과는 거리가 먼 일상의 공간이기도 했던 것입니다.
하긴 일본에는 활화산만 70여 개에 이르며, 공식적으로 지정된 온천만 3000개가 넘는다고 합니다. 또한 고온다습한 기후의 특성상 일본인에게 목욕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일과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기에 ‘도련님’이 잘 보여주듯이, 일본인에게 온천은 극락과도 같은 별세계이면서, 동시에 가장 친숙한 삶의 공간일 수밖에 없는지도 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