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노사가 2025년 임금 및 단체협약(임단협) 잠정합의안을 조합원 투표로 최종 확정했다. 이번 합의로 창사 이래 57년간 이어온 무분규 전통이 다시 한번 확인됐다.
13일 온라인으로 실시된 조합원 찬반투표에는 전체 선거인원 8426명 가운데 8149명이 참여했다. 투표 결과 찬성 5848표(71.76%), 반대 2301표(28.24%)로 합의안이 가결됐다. 작년보다 높은 찬성률을 기록한 것은 글로벌 공급 과잉, 수요산업 둔화, 미국발 50% 철강 관세 부과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서 노사가 장기 교섭보다는 조기 타결을 선택한 결과로 해석된다.
잠정합의안은 △기본임금 11만원 인상 △철강경쟁력 강화 공헌금 250만원 △세계철강전문분석기관 WSD가 15년 연속 ‘세계 최고 철강사’로 선정한 것을 기념한 우리사주 취득 지원금 400만원 △지역사랑 상품권 50만원 지급 등이 포함됐다. 특히 현장 안전 확보를 위해 작업중지권 사용을 확대하는 조항이 신설돼, 근로조건뿐 아니라 작업장 안전 강화에 무게를 실었다.
포스코 노사 교섭이 원만히 타결된 것은 최근 수년간 이어져온 결렬 선언, 파업 찬반투표 등 갈등 위주의 교섭 패턴에서 벗어나 ‘평화 교섭’의 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업계에서는 이번 합의가 ‘K-노사문화’의 새로운 모범 사례로 자리 잡을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포스코 관계자는 “철강산업의 구조적 어려움을 극복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 노사가 함께 위기 대응에 나서기로 뜻을 모았다”며 “무분규 전통을 지켜온 만큼 상생 노사문화가 앞으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코는 오는 17일 이희근 사장과 김성호 노조위원장이 참석한 가운데 2025년 임단협 조인식을 열고 합의 내용을 공식화할 예정이다.
/김진홍경제에디터·김보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