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소설이란 무엇인가

등록일 2023-12-19 18:03 게재일 2023-12-20 17면
스크랩버튼
문학은 언어라는 매개체를 통해 만들어지는 장르다. /언스플래쉬

소설이란 무엇인가요? 이따금 받는 질문만큼 난감한 것은 없다. 백과사전식 답을 구한다기보다 문학에 관한 생각을 묻는다는 걸 알기에 괜히 더 어렵게 느껴진다. 나는 쓰는 사람이면서 읽는 사람이고 소설은 오랜 시간 내 옆에서 특별한 의미로 존재했다. 사적인 감상을 넘어 소설이라는 거대한 장르가 쌓아온 역사와 의미가 여타의 장르와 확연히 구분되는 것도 사실이다. 그리하여 대체 소설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왜 소설을 읽는 것일까?

문학은 언어라는 매개체를 통해 만들어지는 장르다. 영상이나 이미지로는 구현해 낼 수 없는 언어적 특성을 마음껏 드러내는 것이 문학 작품의 묘미다. 소설은 언어로 ‘이야기’를 쓴다. 소설에는 필연적으로 이야기를 내어놓는 사람, 즉 화자가 등장한다. 화자는 자기만의 목소리로 어떤 사건이나 생각 등을 내어놓는다. 독자는 화자를 따라가며 소설의 세계를 이해한다. 일련의 흐름 끝에 작품은 결론에 닿고 독자는 당연하게 누군가(등장인물 혹은, 작가)의 이야기를 읽었다고 생각하게 된다.

그러나 소설을 이야기라고만 규정한다면, 놓치게 되는 것들이 많다. 줄거리만 두고 보자면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작품도 많기 때문이다. 게다가 현대사회에서 공존하는 무수한 서사 장르는 소설보다 더욱 명확하고 흥미롭게 이야기를 그려내고 있지 않은가. 그렇다면 ‘이야기’ 앞에 ‘시의성을 가진’ 혹은 ‘징후를 짚어내는’ 정도의 수식어를 붙이면 어떨까? 물론 그런 것들이 좋은 글을 만드는 데 필요한 요소임을 부정할 순 없으나 소설의 본질을 설명하기에 완벽한 것 같진 않다.

여기 소설은 ‘사고’라고 말하는 작가가 있다. ‘농담’,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무의미의 축제’ 등의 작품을 썼으며 포스트모더니즘을 논할 때 대표적으로 거론되는 작가, 밀란 쿤데라다. 그의 작품을 따라가노라면 어째서 소설을 ‘사고’라고 말하는지 단박에 이해할 수 있다. 한 편의 이야기를 감상한다기보다 철학적 논고 혹은 독특한 형태의 에세이를 보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의 작품은 응당, 소설이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에서는 쓰는 사람, 그러니까 작가가 전면으로 등장한다. 전통적인 방식의 소설에서 작가는 완벽하게 숨어야 하는 존재다. 작가가 보이는 순간 독자는 그 이야기가 허구라는 사실을 깨닫기 때문이다. 그에 반해 쿤데라는 소설 속 인물이 실제로 존재한다고 믿게 만드는 건 어리석다고 말한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의 등장인물은 “영감을 불러일으키는 몇몇 문장, 혹은 핵심 상황”에서 나온 것이라고, 작가는 작품 속에서 직접 기술한다. 이들은 실존하지 않는다. 테레자는 꾸르륵 소리로부터 탄생했으며 토마시는 “한 번은 중요치 않다”는 문장에서부터 시작됐을 뿐이다.

이제 소설은 모두 가짜이며, 이야기는 작가에 의해 좌지우지되고 있다는 불편한 진실 앞에 놓이게 된다. 그러나 작가는 인물을 통제하지 않으며, 단지 그들의 움직임을 지켜본다. 이 소설에 등장하는 네 명의 인물은 모두 각자의 독특한 서사를 지니고 있다. 이들이 충돌하며 벌이는 사건과 그에 따른 결과는 눈을 뗄 수 없을 만큼 흥미롭다. 거기서 작가는 또다시 인물과 세계의 해설자 역할을 자처한다. 작가가 만든 등장인물과 등장인물이 만드는 이야기, 다시 그것을 바라보는 작가, 이 모든 것이 합쳐지면서 절묘한 조화를 이루어낸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문은강 ‘춤추는 고복희와 원더랜드’로 주목받은 소설가. 2017년 서울신문 신춘문예를 통해 작가로 등단했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 훌륭한 소설임에는 이러한 내막이 자리하고 있다. 기존의 소설과 다른 낯선 형식을 통해 도리어 소설이 가진 본질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 소설이 ‘사고’라는 쿤데라의 선언은 다만 형식적 차이가 있을 뿐 모든 작품에는 작가 고유의 논리가 들어갈 수밖에 없다는 뜻임을 이해할 수 있다.

그런 면에서 독자가 한 작가를 사랑하고 그의 작품을 따라 읽는 행위는 하나의 이야기를 읽는 것 그 이상이 될 수밖에 없다. 작품이 나아갈수록 작가의 발화가 영글어가는 것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때 독자는 작품 내부의 서사와 더불어 또 하나의 세계를 읽어낼 수 있다. 그것을 읽어내는 순간 소설의 이야기는 이야기 너머의 이야기로 확장된다.

소설이 무엇인지 묻는 것. 이것은 요즘 같은 시대에 소설이 왜 필요한지를 묻는 것이기도 하다. 많은 작가가 작품을 통해 자신만의 답을 내린다. 그것을 읽어내는 것 또한 문학이 주는 모종의 재미다. 끝나지 않는 질문과 완전한 답이 될 수 없는 답이 섞여 매력적인 소설의 세계가 된다. 이 모든 것은 쓰는 사람과 읽는 사람이 함께 만들어내는 것이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