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정의롭지 못한 희생

등록일 2023-12-19 18:03 게재일 2023-12-20 17면
스크랩버튼
우리는 너무 많은 정보 속에서 길을 잃었는지도 모른다. /Pixabay

그런 상상을 해보자. 당신의 소중한 사람이 납치당했다. 납치범들은 인질을 무사히 돌려받고 싶다면 영상을 찍어 인터넷에 공개할 것을 요구한다. 그들은 당신이 생각조차 하지 못했을 만큼 수치스러운 내용의 영상을 인터넷에 올릴 것을 요구한다. 제한 시간은 앞으로 12시간. 당신은 순순히 납치범의 요구에 부응할 수 있을까?

이와 같은 상상이 너무 손쉽다고 느껴진다면, 몇 가지의 가정을 더 덧붙여보자. 당신은 영국의 총리이며, 인질로 잡힌 사람은 공주이다. 납치범이 협박 영상을 유튜브에 올려버린 탓에 전 세계의 시민들마저 이 사실을 알고 있다. 왕가에서는 ‘총리가 공주를 위해 무엇이든 할 것이라 믿는다’는 언질이 전해온다. 사람을 살리기 위해, 당신은 영원히 당신의 치부가 될 영상을 인터넷에 올릴 수 있을까?

어쩌면 당신은 ‘사람을 살린다’는 명제로 인해 이와 같은 순간에 대해 손쉬운 판단을 내릴 수 있을지도 모른다. 혹은 ‘얼마나 수치스러운 영상’인가에 따라 판단을 달리할지도 모른다. 어차피 시민들 또한 상황에 대해 인지하고 있으므로, 시민들 또한 당신에게 그리 심한 인격모독을 저지르진 않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과연 그럴까? 이 모든 것이 당신의 생각대로 이루어질 수 있을까?

사실 이와 같은 가정은 실제 상황이 결코 아니다. 이건 그저 영국의 TV쇼인 ‘블랙 미러’의 한 장면일 뿐이다. 하지만 이 TV쇼는 우리에게 흥미롭고 불쾌한 통찰을 전달한다는 점에서 현실보다 더욱 현실적이다. 그건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것이다. 이 모든 가정 속에서, 당신은 자신의 생각을 통해 상황에 대해 판단하고 옳은 결정을 하고자 시도하리라 생각하지만, 그건 당신의 생각일 뿐이라는 것.

잠시 TV쇼의 내용을 살펴보자. 물론 총리는 현명한 사람이므로, 이와 같은 상황 속에서 사람을 살리는 것이 급선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렇기에 총리는 최후의 순간에 영원토록 자신의 치부가 될 영상을 촬영해 대중에게 공개하길 선택한다. 하지만 문제는 이것이다. 그의 선택이 결코 사람을 살린다는 대의를 위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것. 실업률을 비롯한 경제적 문제로 인해 하락하는 국민들의 지지도와 왕가의 압력을 비롯한 여러 정치적 문제들이 대의보다 더 큰 압력이 되어 총리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그렇기에 그가 자신의 부끄러운 영상을 찍기에 앞서 국민들을 향해 ‘하지만 저는 아내를 정말로 사랑합니다’라고 말할 때, 그에게서 보이는 것은 누군가를 살리기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고결함이 아니다. 거기에서 엿보이는 것은 압력에 휘말려 자신도 모르는 선택을 해버린 순진한 희생양의 모습만이 화면을 가득 채울 뿐이다.

임지훈 2020년 문화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된 문학평론가. 한양대 국문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임지훈 2020년 문화일보, 서울신문 신춘문예 평론 부문에 당선된 문학평론가. 한양대 국문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어쩌면 단지 불쾌할 따름인 이 TV쇼가 현실에 전달하는 메시지는 단순하고도 강력하다. 타인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고다이버즘(Godivaism)과 같은 정치 역학은 더 이상 불가능해진 시대에 살고 있다는 것. 사람들은 모두 대의를 위해 행동하는 것처럼 말하지만, 그것은 자신의 속내를 감추기 위한 포장에 불과하다는 것. 어쩌면 이러한 수사들마저 철지난 상식이 되어버린 것이 현재라는 시대라는 것이다.

하지만 과연 이게 다일까? 어쩌면 우리는 여기에서 더 나은 한 걸음을 디뎌야 하는지도 모른다. 예컨대 이런 것이다. 대의가 타자의 논리를 수용하기 위한 포장에 불과해져버린 시대에서, 우리는 다시금 삶의 이유를 재발견해야 한다는 것. 예컨대 주류 언론과 인터넷에 넘쳐나는 ‘주류 의견’에 대한 지향성으로부터 벗어나, 자신의 삶의 논리에 대해 성찰해야 하는 시간이라는 것이다. 그 어느 때보다 많은 정보를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시대가 되었지만, 우리는 그 대가로 선택의 자유를 지불하고 있으니 말이다. 어쩌면 너무 많은 정보 속에서 우리는 길을 잃고 두려움에 사로잡힌 희생양들에 불과한 것은 아닐까.

물론 이 말은 결코 반지성주의·반계몽주의적 입장에 서라는 말은 아니다. 오히려 그러한 입장으로부터 스스로를 구해내야 한다는 것이 요지이다. 우리는 스스로를 이성적으로 사유하는 존재라 생각하지만, 과연 그럴까? 우리의 사유는 정녕 우리의 것일까? 우리는 단지 ‘주류 의견’에 스스로의 사유마저 내맡겨버린 껍데기에 불과한 존재인지도 모른다. 우리가 삶을 선택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더 많은 정보가 아니다. 자신의 삶에 대해 스스로 기준을 세우고 그로부터 선택을 감행하며 결과마저도 나의 것으로 받아들이는 것. 예컨대, 자기에 대한 책임감.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단지 그것뿐이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