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신화랑 풍류마을에서 찾아보는 화랑정신

등록일 2023-12-03 15:27 게재일 2023-12-04 17면
스크랩버튼
김하수 군수
김하수 군수

고구려와 백제보다 상대적으로 힘이 약했던 신라가 676년 한반도를 통합한 삼국통일은 역사적인 사건이다.

비록 신라가 당나라의 힘을 의지했다 해도 신라의 삼국통일은 고구려의 옛 영토까지는 차지하지 못했지만, 한반도의 민족문화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의미가 크다.

특히 물질적인 강대함보다는 정신적인 측면이 더 강대한 힘을 발하는 것을 증명한 역사다.

신라의 삼국통일을 이야기할 때는 제29대 무열왕(김춘추 603~661)과 제30대 문무왕(661~681), 김유신(595~673) 장군을 빼놓지 않는다.

이들이 신라의 삼국통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지만, 이들의 중심을 꿴 것이 화랑도(정신)이다.

화랑도는 화랑과 그 낭도들이 사상적으로 간직하고 실천하려고 힘썼던 도리(道理)이지만 화랑과 낭도들이 활약했던 시기에는 화랑도로 불리지 않다가 현대에 이르러 일반화된 것으로 보인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화랑도를 어떻게 불렀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화랑정신이 세력이 미약했던 신라가 삼국통일의 주역으로 등장하는데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다는 것이 중요하다.

신라 제24대 진흥왕이 화랑도를 통해 인재를 키우며 나라의 근본을 다지고 무열왕은 당나라와 연합해 백제를 멸망시켜 삼국통일의 기초를 마련했다.

문무왕은 삼국을 통일한 실질적인 왕으로 신라의 국격을 한 단계 높인, 신라를 신라답게 만든 왕으로 사적 제18호인 경주 안압지를 조성하기도 했다.

가야의 후손으로 열다섯 살에 화랑이 된 김유신은 참가한 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우고 후세에 유명한 전투로 알려진 백제의 계백과 싸운 황산벌 전투를 승리로 이끌고 백제의 수도인 사비성을 함락시켜 삼국통일의 중요한 역할을 했다.

청도는 이 화랑정신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화랑도 정신을 이야기하면 곧 생각나는 것이 세속오계(世俗五戒)다.

청도 운문산 가슬갑사(嘉瑟岬寺)에 머물던 원광법사에게 찾아온 귀산(貴山)과 추항(<7B92>項) 두 화랑에게 준 다섯 가지 규율인 세속오계는 우리가 잘 아는 △사군이충(事君以忠) △사친이효(事親以孝) △교우이신(交友以信) △임전무퇴(臨戰無退) △살생유택(殺生有擇) 등으로 현대에도 적용하기에도 무리가 없다.

이 화랑정신을 지역의 무형문화 유산으로 받아들이고 계승하고자 건립된 것이 신화랑 풍류마을이다.

2018년 3월 22일 개관한 신화랑 풍류마을은 화랑의 정신·문화·체험활동을 특화한 다양한 프로그램과 현대적 의미의 해석을 통한 화랑 문화 고유의 정통성과 새로운 신화랑 정신문화가 공존하는 복합 문화관광단지다.

신화랑 풍류마을은 화랑의 세속오계 정신과 화랑도의 교육과정이라 할 수 있는 도의상마(道義相磨), 가락상열(歌樂相悅), 유오산수(游娛山水) 등 8가지 테마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교육·관광지로 삼국통일의 원동력이 되었던 화랑정신과 청도의 신(新) 화랑정신을 전시 및 교육공간으로 꾸며놓은 화랑정신 발상지 기념관, 화랑 RV 체험 존, 명상실, 신화랑 스카이 트레일 등 다양한 시설을 갖추어 관광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특히 지난 8월 개장한 신화랑 스카이 트레일은 화랑과 낭도들이 훈련에서 느꼈을 담력과 호연지기(浩然之氣)를 체험할 수 있어 주말과 휴일에는 가족, 친구, 연인, 단체 등이 업무시간 전부터 줄을 서서 입장을 기다릴 정도로 대단한 인기를 끌고 있다.

또 1박 2일과 2박 3일로 진행되는 숙박형 ‘화랑되기’와 ‘화랑국선되기’ 프로그램은 최소 3개월 전 예약을 해야지만 시설 이용이 가능하다.

청도군도 청도신화랑 풍류마을을 찾는 방문객을 위해 계절별로 아름다운 꽃을 볼 수 있는 숲 가꾸기 사업과 맨발 로드 및 수변공원 조성, 300명 정도가 이용 가능한 컨벤션홀 건립, 400여 미터의 곡선형 짚 코스터 레포츠 시설 건립으로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교육·관광의 명소로 변모시킬 예정이다.

새마을운동의 발상지이기도 한 청도군은 인간 사랑 등을 담아 현대에도 지켜야 할 계율인 화랑정신을 신화랑 풍류마을이라는 특정 장소에만 국한 시키지 않고 지역에 두루 흐르는 시대정신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시·군 단체장의 ‘우리고장은 지금’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