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열린 한일정상회담 만찬에 안동의 대표 음식인 안동찜닭과 안동소주가 올랐다. 외교의 자리에서 안동의 밥상이 소개됐다는 사실은 단순한 화젯거리가 아니다.
안동의 맛과 문화가 한국을 대표하고 세계와 소통하는 힘을 가졌다는 증거다. 나는 이 소식을 안동시민과 함께 기쁜 마음으로 함께 나눴다. 이번 기회를 안동이 다음 단계로 도약하는 출발점으로 삼고자 한다.
안동의 음식은 오랜 생활의 지혜에서 태어났다. 찜닭골목에 가면 커다란 철판에서 간장과 마늘 향이 피어오르고 닭과 채소, 당면이 어우러져 푸짐한 한 상이 완성된다.
서민적이면서도 균형 잡힌 단짠의 맛은 남녀노소 누구에게나 친근하다. 헛제사밥은 제사상을 재현해 여러 찬을 한데 비벼 먹는 독특한 방식이 핵심이다.
의례와 일상의 경계를 넘어 음식을 함께 나누는 공동체의 미덕을 전한다. 안동간고등어는 먼 내륙까지 생선을 신선하게 들여오기 위해 소금으로 단단히 절이던 선조들의 지혜가 남아 오늘의 별미가 됐다. 안동한우는 담백한 육향과 고른 마블링으로 고기의 본맛을 살린다.
종가음식은 손맛과 격식을 함께 지켜온 집안의 역사 그 자체이며, 집안마다 내려온 전통주는 온주법과 같은 기록을 통해 술 빚기의 정밀함을 지금에도 전하고 있다. 수운잡방과 음식디미방이 남긴 기록은 안동이 품은 미식의 뿌리가 얼마나 깊은지를 말해 준다.
나는 이 전통들이 오늘날에도 살아 움직이기를 바란다. 전통시장의 상인들이 새벽부터 손질한 재료로 국을 끓이고, 골목의 주방에서 나는 소리와 냄새가 관광객의 발길을 붙잡는다.
월영교의 야경을 본 이들이 강바람을 맞으며 찜닭과 간고등어 한 그릇으로 하루를 마무리하고, 소주 한잔에 안동의 이야기를 곁들일 때 비로소 여행은 완성된다. 맛은 언어를 초월하는 가장 직관적인 문화교류다. 한 숟가락의 경험이 도시의 첫인상을 바꾸고, 재방문을 부른다.
이제 안동시는 향토 음식의 인지도와 가능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고자 한다. 핵심은 음식과 공간, 공연, 축제, 관광을 유기적으로 묶어내는 일이다.
먼저 특화공간에서는 전시와 체험을 확대하고, 전통주와 종가음식의 이야기를 아카이브로 정리해 누구나 보고 배우는 장으로 만들겠다. 여기에 월영교 등 대표 관광지와 연계한 시음 프로그램, 휴식공간을 더해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복합문화공간을 조성할 것이다.
다음으로 음식과 공연을 결합한 새로운 형식인 이머시브 다이닝을 본격적으로 도입한다. 관객이 직접 음식을 맛보고 배우들과 교감하며 이야기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전통적인 접빈문화와 함께 안동의 향토 음식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전통음식을 오감을 자극하는 복합 콘텐츠로 발전시켜, 안동의 미식이 가진 매력을 한층 넓히겠다.
또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과 같은 대규모 축제에 미식 콘텐츠를 적극 결합해, 축제장에서 맛본 경험이 지역 재방문으로 이어지는 선순환을 만들겠다. 대규모 푸드존운영뿐 아니라 전통 레시피 체험, 종가음식 강좌 등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해 지역 음식의 전승과 대중화에 힘쓸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관광 인프라와의 결합이다. 음식과 철도여행을 연계한 팝업열차, 전통가옥 숙박, 전통놀이 체험을 결합해 ‘먹고, 놀고, 자는’ 완결형 여정을 제공하겠다. 코레일관광개발과 협력으로 곧 진행될 ‘K-미식 전통주 벨트 팝업열차–안동 더 다이닝’와 같은 상품을 개발하고, 현장의 반응을 반영해 지속 가능한 미식관광 모델로 다듬어 나가겠다.
안동의 맛은 단순한 한 끼 식사가 아니다. 땅과 물, 시간과 정성이 쌓여 만들어 낸 문화의 총합이다. 이번 정상 만찬이 보여 준 것은 ‘안동의 맛’이 곧 ‘대한민국의 품격’이 될 수 있다는 가능성이다.
나는 그 가능성을 현실로 바꾸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 안동을 세계 속의 미식도시로 키워 시민의 자부심을 높이고, 지속 가능한 일자리와 지역 경제의 활력을 만들겠다. 다음 세대가 이 도시의 맛을 배우고 이어갈 수 있도록, 안동의 어제와 오늘을 넘어 내일을 담아내는 미식도시 안동, 그 길을 책임 있게 열어갈 것이다.
/권기창 안동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