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 피부병인 ‘럼피스킨병’이 급속 확산되고 있다. 지난 20일 충남 서산에서 국내 첫 확인된 지 5일 만에 경기, 충북, 강원 등 전국 확산 조짐을 보인다.
방역 당국은 발병 소에 대한 살처분 조치와 함께 긴급 백신 접종에 나섰다. 전국 농가에는 일시 이동 중지 명령을 내렸다. 벌써 27곳 농가에서 2천마리 가량이 집단 살처분됐다. 사육농가와 낙농업계는 대규모 살처분 가능성에 불안해하고 있다. 소 86만 마리를 사육, 전국 최대의 한우 사육지인 경북도도 비상 태세다.
지난 5월엔 충북 청주·증평에서 구제역이 발생, 소 1천50여 마리를 살처분했다. 2010년 안동에서 시작된 구제역은 전국으로 번져 390만 마리의 가축을 살처분했다. 경제 피해만도 3조4천억원에 달했다. 최근 5년간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으로 살처분된 돼지는 36만5천마리, 피해액은 2019년에만 1천334억원이다.
정부는 집단 살처분으로 인한 가격 상승 등 경제 영향을 고려, 살처분 방식 전환을 꾀하고 있다. 발병농장에 대해 사육 가축들의 백신 항체 형성 정도에 따라 선택적 살처분으로 전환키로 한 것이다. 2011년 백신접종 의무화 후 집단면역이 높아진 점도 작용했다.
수의사이자 생명윤리학자인 박종무는 ‘우리는 동물을 어떻게 대해야 하는가’라는 책에서 ‘예방적 살처분’을 당연시하는 현실에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2010년 구제역 사태 당시 “방역 당국이 일정에 쫓겨 살아 있는 가축을 생매장하기도 했다”며 당시 작업 근로자와 수의사, 농장주들이 큰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토양, 지하수, 하천 등 환경 오염 문제도 불거졌다. 결국 인간의 생명을 위협한다. 뿌린 대로 거둔다.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
/홍석봉(대구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