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우리는 모두 아이였던 때가 있다

등록일 2023-10-23 18:21 게재일 2023-10-24 17면
스크랩버튼
프랑스의 작가 쥘 르나르. ‘홍당무(Poil de Carotte)’

가끔씩, 망각하긴 하지만 우리는 모두 아이였던 때가 있다. 단지 기억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지금 생각하면 아이 때의 기억은 대부분 왜 그런 식으로 생각하거나 행동했는지 알 수 없는 이해불가의 영역뿐이다. 그것은 무언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어렸고, 그렇기에 어떻게 말하거나 행동하는지 몰랐고, 그것을 누군가에게 묻는 것에 익숙하지 않았던 까닭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흔히 아이들이 이유 없이 어떤 행동을 하거나 말을 한다고 생각하지만, 그것은 어쩌면 편견일 것이다. 아이는 외부의 자극에 대해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그것을 이해하고, 그것에 대해 자기 나름의 합리적인 행동으로 대응한다. 또한 그것을 합리화하기도 한다. 다만, 그 합리가 어른의 그것처럼 규격이나 양식을 따르고 있지 않을 뿐이다. 또한 그것에 대해 설명할 만큼의 말솜씨를 갖지 못한 것이다. 말썽쟁이들이 부리는 말썽은 대부분 이유가 있다. 우리 모두 그런 때가 있지 않은가.

프랑스 작가 쥘 르나르(Jules Renard·1864~1910)의 소설 ‘홍당무’는 바로 그렇게 우리가 모두 아이였던 때가 있었음을 상기시킨다. 르나르가 자신의 아들과 딸을 위해 1894년에 발표한 이 소설은 프랑스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말썽꾸러기 ‘홍당무’의 일화를 다루고 있다. 르나르 자신의 어린 시절을 투영해서 쓴 것으로 알려진 이 작품은 종종 르나르가 겪었던 어머니로부터의 학대의 경험이 표현되어 있다고 평가되곤 하지만, 내게는 그렇게 생각되지 않는다. 이 소설에는 홍당무가 겪을 수밖에 없었던 어린 시절의 섬세한 심리가 너무나도 잘 그려져 있을 뿐이다. 어떤 시대에는 그 시대에 맞는 삶의 양식들이 존재하며, 그 배경에 대한 이해 없이 재단하는 것은 소설을 읽을 때 그리 도움이 된다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 소설에서 홍당무는 형도 누나도 가지 못하는 밤의 닭장문을 닫는 일을 하러 처음 나서기도 하고, 대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요강도 찾지 못해 침대 위에서 그대로 대변을 누기도 한다. 또 귀에 펜대를 끼운 채로 잊어버리고 아버지에게 키스하려다가 눈을 찌를 뻔하기도 한다. 어머니, 르픽 부인의 은화를 훔치고서 거짓말을 하기도 하고, 실수로 낚시 바늘을 어머니의 손가락에 관통하게 해서 큰 소동을 일으키고 눈물을 짜내기도 한다. 홍당무는 그야말로 구제불능의 골칫거리다.

하지만, 그럼에도 아이에게는 아이가 가지게 마련인 나름의 생각이 있다. 이 작품은 아이라는 존재를 막연히 미화하는 동화의 기본적 양식을 따르기보다는 아이란 그렇게 늘 말썽을 부리기 마련인 것이라는 사실을 전제한다. 이 작품이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독자에게 큰 인상을 남기고 있다면, 그 이유는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시선을 낮춰 아이의 눈 그 자체로 본다면, 아이가 만나는 세계는 선과 악, 어떤 것으로도 재단할 수 없는 순진무구 그 자체라는 사실 말이다. 선악이란 어른의 관점일 뿐으로, 아이의 행동은 선의나 악의로 행해지는 것이 아니라 어른과는 다른 자기만의 행동 방식으로 행해진다는 메시지를 이 작품은 전달하고 있는 것이다.

아이는 갑자기 소리를 지르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행동을 할 수 있다. 가만히 지켜보면 거기에는 분명 어떤 이유가 있다. 선의와 악의, 성숙과 미숙, 보편과 개성 같은 명확히 굳어진 세계 인식을 갖고 있는 어른에게는 단지 그 섬세한 아이들의 마음이 이해되기 어려운 것뿐이다. 우리는 모두 아이였던 때가 있지만, 지금 우리는 그곳에서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일 뿐이다. 쥘 르나르는 바로 그 당연한 사실을 우리에게 알려주고 있다.

/홍익대 교수 송민호

송민호의 書架(서가)에서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