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SNS에서 학교생활 기록부를 인증하는 열풍이 불었다. 그간 생활기록부 발급 절차가 조금 복잡했던 것에 비해, 최근부터는 정부 24 홈페이지 또는 앱을 통해 간단한 인증 절차만으로 발급 받을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SNS에서 주로 자신의 생활 기록부를 캡쳐해서 업로드 하는 부분은 ‘행동 특성 및 종합 의견’항목이다. 학창시절 ‘생활 태도’와 ‘장점’, ‘성장 가능성’등 담임선생님의 시각으로 바라본 개인적인 평가를 적어 놓는 문항인데, 이 부분을 통해 자신이 학창시절 어떤 사람으로 비춰졌는지 대략적으로 가늠해 볼 수 있다.
성적은 물론 수상내역, 봉사 활동, 생활 태도 등 학교생활의 전반에 대해 디테일하게 알 수 있어 학창시절을 회상하는 재미도 있을뿐더러 SNS에선 나는 이런 사람이었다는 걸 인증하고 공유하기 위해 더욱 주목을 받았던 듯싶다. 그도 그럴게 생활기록부 발급 유행이 시작되었던 지난 9월엔 이용자 증가로 정부 24 홈페이지가 마비되기도 했었고, 작년 7~9월 발급 건수 대비 올해 발급 건수는 3배 이상 달했을 정도라 한다.
하지만 내겐 잊고 있던 과거의 기억을 다시 꺼내어 본다는 건 그리 유쾌하지 않은 일이다. 소멸을 향해 조금씩 희미해지는 것들을 보면 어쩐지 낯선 객지에서 홀로 서 있는 듯한 쓸쓸한 기분이 든다. 내 과거의 기억이 아닌, 타인의 과거를 어렴풋이 훔쳐보고 있는 느낌이라고 해야 할까.
하지만 과거의 ‘나’는 어쩐지 궁금해지는 법, 점심을 먹으며 휴대폰으로 몇 번 간단한 인증을 했더니 정말 바로 발급받아 볼 수 있었다. 조심스레 열어보니 의외로 나는 학창시절에 공부하라는 선생님의 말을 안 듣는 소심한 말썽꾸러기가 아닌, 이타적이고 논리적이며 감수성이 발달하여 글쓰기에 소질 있는 아이로 비춰지고 있었다. 나도 모르는 나의 학창시절 모습이라 그런지 조금은 낯설어 멋쩍은 웃음만 지었다.
나의 학창시절을 잠시 되돌아본다면, 나는 다소 조용했으나 웃음소리가 크고 밝은 친구들을 좋아해서 주변엔 재미있는 친구들이 많았다. 공부엔 크게 흥미를 느끼지 못해서 주로 교과서 속에 책을 숨겨 읽었고, 담임선생님이 책을 그만 읽으라고 하면 외려 더 숨어서 책을 읽곤 했다.
도서관에 숨어 만났던 책들은 주로 신경숙, 박민규, 이성복, 기형도의 책들이었고 그때 처음 문장 속에서 자유로이 유영하는 법을 배웠다. 마음먹은 대로 무엇이든 쉽게 할 수 없었던 환경에서 글이 주는 자유로움과 날 것으로 드러나는 타인의 세계와 삶의 형태가 얼마나 놀랍던지. 그래서 읽기에 빠져 들었고, 자연스레 쓰기 시작했던 것 같다. 그때도 쓴다는 말이 어색하게 여겨져서 늘 ‘메모 한다’, ‘일기를 쓴다’라고만 글쓰기를 표현하고 정의했다. 쓴다는 것은 어딘가 부끄럽고 멋쩍기도 하고 또, 소중해서 타인에게 들키지 않았으면 하는 마음이었다고 해야 할까.
읽고 쓰는 것 외엔 흥미도 없고 잘 하는 게 무엇인지 몰라 문예창작학과를 택했고, 글을 읽고 쓰며 작가의 꿈을 키웠다.
그러면서 어린 나는 쓰고 싶은 것도 많고 되고 싶은 것도 참 많았던 듯싶다. 글쓰기로 충만감도 느꼈고, 성취감도 얻었고, 화도 났고, 무력함도 느꼈으니 말이다.
꽤 열정적이었던 것에 비해 현재의 나는 어딘가 정말 중요한 중심을 잃어버린 것만 같다. 과거의 열정을 부정하면 할수록 현실적인 부분에 있어 더 생산적인 역할과 몫을 해내고 있다고 스스로 여겨 버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두 눈은 퀭하고, 자주 화가 나 있으며, 복잡한 사유는 멈추고, 작은 스트레스에도 민감하며, 나쁜 식습관으로 몸은 엉망이다. 어린 날의 나에 비해, 생의 의문과 더불어 따라오는 몇 가지 질문에 점점 더 비겁해지며 미성숙한 사고를 택하기에 따라오는 씁쓸함은 부정할 수 없다.
최근 이사를 하며 아직 미처 정리 하지 못한 책들이 쌓여 있다. 이사 오기 전 많은 책들을 처분한 탓에 이제 내가 가진 책들은 100여 권도 안 된다. 멋대로 쌓인 책의 형태를 바라볼 때면 허무함이 느껴져 외면하곤 했으나, 이젠 이 쓸쓸한 부채감이 아주 어린 날부터 쭉 시작되어 왔으며 쉽게 끝나지 않음을 안다. 그렇기에 슬슬 책의 자리를 찾아주려 굳게 닫힌 옷장 문을 열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