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과정은 지역 식품기업의 무역실무 역량 강화를 통한 수출 활성화를 지원하려는 것으로 대구시·경북도와 공동으로 기획했다.
주요 내용은 △국가별 식품 인증유형 및 인허가 절차 △품목별 수출·수입 검역의 이해 △식품 전용 수출계약 등 무역서식 작성법 △품목별 FTA를 활용한 수출확대 방안 △식품 전문전시회 및 아마존·쇼피 등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 활용 마케팅 전략 등이다.
/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
심상선기자
antiphs@kbmaeil.com
다른기사 보기
경제 기사리스트
농진청, ‘농업기술길잡이’ 신간·개정판 11종 발간
FIU, 초국경 범죄 겨냥 자금세탁방지 강화···의심거래 ‘일제 보고’ 확대
농촌진흥청, ‘농업기술 데이터 플랫폼’ 24일 시범 개시···700개 핵심 데이터셋 우선 개방
10월 대구·경북 수출, 조업일수 감소·주력 품목 부진에 동반 하락
‘10년 표류’ 포항 장성동 주택재개발사업 철거 본격화
11월 수출, 반도체·자동차 견인···올해 1~10월 역대 최대 실적 경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