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와 경북 지역의 10월 수출이 조업일수 감소와 주요 품목 부진으로 동반 하락세를 보였다.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가 지난 21일 발표한 ‘2025년 10월 대구·경북 수출입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대구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6.8% 감소한 6억 8000만 달러, 경북은 11.4% 줄어든 34억 8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대구는 7개월 만에, 경북은 6개월 연속 역성장을 기록하며 지역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대구의 수출 감소는 추석 연휴로 인한 조업일수 감소와 자동차부품, 기계 등 주력 품목의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자동차부품 수출은 미국(-18.1%)과 중국(-12.1%)으로의 수출 감소로 8,576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4.6% 줄었다. 이는 1월 이후 최저치다.
반면 이차전지소재(기타정밀화학원료, +88.5%), AI 가속기용 인쇄회로(+14.2%), 제어용 케이블(+40.8%), 의료용기기(+7.5%) 등 일부 효자 품목이 선방하며 전체 하락세를 완화했다.
국가별로는 중국(24.7%)과 태국(37.9%)으로의 수출 증가가 긍정적 요소로 작용했으나, 미국발 관세 조치 영향으로 대미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29% 감소, 1억 3446만 달러로 2020년 11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베트남 수출도 일부 품목 증가에도 불구하고 조업일수 감소로 2.2% 하락했다.
경북의 경우 상위 10대 수출 품목 중 알루미늄조가공품(+3.5%)을 제외한 모든 품목이 하락하며, 철강제품 수출 감소가 두드러졌다.
특히, 지난해 경북 수출의 약 18%를 차지한 철강제품은 미국의 품목 관세 부과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영향으로 4억 6725만 달러를 기록, 전년 대비 27.7% 급감했다. 무선통신기기부품(-9.2%), 이차전지소재(-33.9%), 자동차부품(-4.7%) 등 지역 핵심 수출 품목이 대부분 역성장하며 전국 17개 광역지자체 중 수출증감률 15위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국인 중국(-17.8%), 미국(-10.4%), 베트남(-10.0%)으로의 수출도 모두 감소세를 나타냈다.
김동욱 한국무역협회 대구경북지역본부 팀장은 “대구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 영향으로 위축됐지만, 이차전지소재와 인쇄회로 등 일부 주력 품목의 선방은 긍정적 신호”라며 “경북은 미국발 통상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큰 만큼, 업종별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진단했다.
/김재욱기자 kimjw@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