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위성 이미지까지 개방 확대···스마트농업·AI 활용 기반 강화
농촌진흥청이 농업 R&D와 기술 보급 과정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통합 제공하는 ‘농업기술 데이터 플랫폼(ADP)’을 24일부터 시범 운영한다. 연구자별로 흩어져 있던 데이터를 기관 차원에서 표준화·일원화해 민간까지 활용도를 높이겠다는 취지다.
농촌진흥청은 2023년부터 플랫폼 구축에 착수해 데이터 관리체계(거버넌스), 표준화, 메타데이터 체계를 정비했다. 기존에 각 웹사이트별로 분산돼 있던 개방창구도 하나로 통합하고, 외부 유관기관 데이터와의 연계 기능을 대폭 강화했다. 연구자들은 부서 승인 절차를 통해 자신이 수집한 데이터를 개방할 수 있으며, 대학·연구소 등 공동연구 주체도 회원가입 후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접근성이 개선됐다.
대용량 파일 처리, 고급 검색 서비스, 개인 인증 시스템도 도입됐다. 농업 데이터의 해외 유출을 막고, 스마트팜 환경설정·농업공간정보 등 분석 기능도 함께 제공된다.
이번 시범 개방에는 2018년부터 수집한 토마토·딸기·파프리카 등 시설 원예 7개 품목의 1000여 농가 데이터와 양파·마늘·고추 등 노지 7개 품목의 800여 농가 데이터 등 총 700여 개의 정형 데이터셋이 우선 포함된다. 농촌진흥청은 연말까지 산하 연구기관이 보유한 데이터 추가 발굴에 나선다.
2026년에는 비정형 데이터 관리체계를 마련하고 병해충 이미지(약 300종), 30여 작물 관련 데이터 등을 순차적으로 개방할 계획이다. 2027년 이후에는 농업 위성 이미지 등 핵심 데이터까지 확대해 농업인·기업·연구기관 등 누구나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현재 일부 도 농업기술원과 시·군 농업기술센터에서 사용하는 플랫폼을 향후 전국 모든 농촌진흥기관으로 확대 보급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이상호 농촌진흥청 기획조정관은 “데이터는 스마트농업과 AI 전환을 이끄는 핵심 자원”이라며 “농업기술 데이터 플랫폼이 연구자·기업·농업인 누구나 필요한 정보를 쉽게 찾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진홍기자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