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해외 지점·자회사 AML 점검 강화···동남아 중심 현장점검 추진
금융정보분석원(FIU)이 해외 거점을 기반으로 한국 국민을 대상으로 이뤄지는 초국경 범죄에 대응하기 위해 금융감독원과 16개 유관기관이 참여한 ‘자금세탁방지(AML) 유관기관협의회’를 24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최근 증가하는 초국경형 전기통신·사기조직의 자금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금융회사와 정부 간 협력체계를 대폭 강화하려는 목적에서 마련됐다.
FIU는 우선 은행권과 함께 초국경 범죄 연계 가능성이 높은 의심거래 유형을 분석하고, 금융회사가 해당 유형에 부합하는 거래를 일제히 보고하는 체계를 가동하기로 했다. 지난주 논의된 기준을 토대로 은행권은 이미 의심거래 일제 보고를 시행 중이며, 향후 금융투자·보험·여전·핀테크·가상자산사업자 등 다른 업권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보고된 자료는 FIU 전략분석을 거쳐 검찰·경찰 등 법집행기관의 범죄조직 추적에 활용된다.
FIU는 금융회사 내부통제 강화도 병행한다. 금감원이 은행권의 해외 지점·자회사 AML 관리 실태를 우선점검한 결과, 일부 은행이 동남아 지역 해외 지점·법인에 대해 서면점검에만 의존하는 등 미흡한 부분이 확인됐다. FIU는 이에 따라 초국경 범죄 의심 고객에 대한 강화된 고객확인(KYC) 절차를 적용하고, 특히 동남아 지역 지점·자회사에 대한 현장점검을 우선 실시하도록 조치할 계획이다. 향후 자금세탁방지 검사에서도 해외 법인에 대한 통제가 중점적으로 점검된다.
아울러 FIU는 해외 FIU와의 정보공유 및 국제 공조체계를 확대하고, 초국경 범죄 대응을 위한 제도 개선도 병행 추진할 계획이다. 협의회를 주재한 이형주 원장은 “이번 협의회는 초국경 범죄 대응을 위한 첫걸음”이라며 “특정 국가 사건에 국한하지 않고 향후 발생 가능한 모든 초국경 범죄에 대해 대응 능력을 지속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진홍기자 kjh25@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