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문경∼김천 고속철도 건설’ 속도… 지역협의체 추진

박형남기자
등록일 2023-09-05 19:56 게재일 2023-09-06 3면
스크랩버튼
道·국힘 예산정책협의회 개최<br/>균형발전 전략·국가예산 논의<br/>민심 반영한 사업 필요 목소리
국민의 힘과 경북도는 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예산정책협의회를 열고 2024년 국가투자예산 확보방안과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현안에 대한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문경∼상주∼김천 구간 건설과 연계한 지역 발전전략 및 역세권 개발 기본 수립을 위한 협의체를 구성할 것으로 보인다. 중부내륙철도(이천∼충주∼문경)와 연결되며 김천∼거제와 이어지는 문경∼김천 고속철도 건설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 신공항 철도를 계획 중인 가운데 철도가 지나는 지역마다 역을 설치해야 된다는 주장이 나오기도 했다.

5일 국회에서 열린 ‘국민의힘-경상북도 예산정책협의회’에서는 2024년 국가투자예산 확보방안과 균형발전을 위한 정책현안에 대한 대응 전략을 논의했다. 김희국(군위·의성·청송·영덕) 의원을 제외한 경북 의원 전원이 참석한 가운데 이철우 경북지사, 이달희 경제부지사 등 경북도 주요 간부들도 총출동했다.


송언석(김천) 경북도당위원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지난 7월) 경남은 ‘남부내륙철도 연계 지역 발전전략 및 역세권개발 기본 구상용역’ 총괄 중간 보고대회를 했다. 남북내륙철도 사업이 예타면제가 되면서 설계가 진행 중이며, 내년 완료되는 것으로 알고 있다. 이와 연계해 경남이 조금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느낌”이라고 아쉬워했다.


그는 이어 “김천에서 문경가는 철도가 예타 통과되어 기본계획이 수립 중에 있음으로 수서에서부터 김천, 진주, 거제로 가는 이 노선을 중심으로 굉장히 중요한 한반도 중간 축이 형성된다. 경북도에서도 지역과 관련해 역세권 개발 계획이나 지역발전 전략을 수립하는 게 필요하다”며 이른바 ‘지역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철우 지사와 경북도에서 도와주고 나서주면 굉장히 도움될 것 같다”며 “이 지사가 주도적으로 (역할을) 해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대해 이 지사는 “굉장히 중요한 철도다. 특별히 더 챙기겠다”고 화답했다.


또 정희용(고령·성주·칠곡) 의원은 “신공항 철도가 계획 중인 가운데 지역 주민들 입장에서는 역을 설치하지 않으면 용납을 못한다”며 “대구에서 출발해 칠곡, 구미, 의성으로 지나가는데 각 지역마다 역을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이 지사는 “동대구역에서 의성역(신공항)까지 가는 것은 도시철도 개념”이라며 “곳곳에 역을 다 만들 것”이라고 했다.


김석기(경주) 의원은 지역의원들에게 “경주가 2025년 APEC정상회의 개최지가 되도록 홍보해달라”고 요청했다. 이런 가운데 참석자 대다수는 국비 확보를 위한 지혜를 모으기보다는 경북도가 자기 지역구 사업을 챙겨달라는 주문이 쏟아졌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대구·경북(TK) 물갈이론이 팽배한 가운데 지역의원들이 지역 공약 이행률을 높여 지역 민심을 잡기 위한 행보로 읽힌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지역 SOC 사업과 관련한 “터널을 뚫어달라”, “시내버스 노선을 연장해달라” 등의 요구도 있었다. 이와 함께 농작물 냉해 피해에 대한 보상금 관련한 논의도 있었다.


한 참석자는 “내년 총선을 앞두고 의원들이 지역구 민심을 사로잡으려고 자신의 공약 사업이 이행될 수 있도록 노력해달라는 주문과 함께 추석 민심을 앞두고 지역민들의 관심사인 냉해 피해 보상금 관련한 내용도 다뤄졌다”며 “경북도의 발전을 고민하는 자리이기도 했지만 내년 총선이 다가왔구나를 느끼는 자리였다”고 총평했다.


한편, 이날 예산정책협의회에서는 정부예산안 미반영 사업에 대한 필요성과 대응 논리를 새롭게 정비해 향후 국회 심의를 대비하기로 했다. 또 △국가균형발전인지 예산제도 전면도입 △경북농업과학기술원특별법 제정 △외국인 광역비자제도 도입 △사드 배치에 따른 발전사업 국비지원 비율 상향 △기부자의 의사를 존중하는 재해구호법 개정 등 국회 차원의 입법과제들도 논의됐다. 이와 함께 경북도 주요 핵심사업으로 △성주∼대구간 고속도로 등 국토위 소관 7건 △저탄소 철강 소부장 제조혁신 기반 구축 등 산자중기위 소관 11건 △심해해양바이오뱅크 건립 △첨단 백신 공정기술 기반 조성 사업 등 7개 상임위 소관 17건 등 총 35건을 건의했다.


경북도는 “10월 말부터는 국회 예산심사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국회 현지 캠프를 운영하는 등 지역 정치권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예산안 의결 시까지 한 푼의 예산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총력을 다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

정치 기사리스트

더보기 이미지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