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세편살’이라는 말이 한창 유행했을 때가 있었다. 그 신조어를 접했던 건 바야흐로 십 년 전, 친구에게 내 고민을 털어놓던 순간이었다.
그녀는 “은강아, 복세편살하자. 복세편살.”하면서 내 어깨를 두드렸고 나는 그게 무슨 말인지 알 수 없어 친구 얼굴만 멀뚱멀뚱 쳐다봤다. 언뜻 들으면 복(福)을 비는 것 같기도 하고 뭔가 심오한 뜻이 내포된 사자성어 같기도 한 묘한 단어. 대충 좋은 말이겠거니 하고 넘겼는데 나중에야 ‘복잡한 세상 편하게 살자’를 네 글자로 줄여 쓴 것이라는 걸 알았다. 요즘 애들은 별걸 다 줄여서 말하는구나. 애늙은이처럼 혀를 차는 것도 잠시, 그 말이 어찌나 중독성 있던지. 언제부턴가 나도 주문처럼 ‘복세편살’을 외치고 있었다.
정말이지 그건 주문 같았다. 마음이 실타래처럼 엉키거나 중심을 잡지 못하고 기우뚱댈 때면 마음속으로 ‘복세편살’을 중얼거렸다. 그것은 정말 주술적 효과를 가져다주기도 했다. 어려운 상황이 단박에 해결되는 건 아니었지만 마음만은 순간적으로 잔잔해지는 것도 경험했다. 폭풍우처럼 몰아치는 감정에 던진 작은 돌 하나가 생각지도 않은 도움을 주다니. 참 신기한 일이었다.
세상은 복잡하다. 점점 더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간다. 상상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것들이 자꾸자꾸 생겨난다. 변화의 속도는 따라가기 벅찰 정도다. 대면보다 비대면 방식이 많아지고 1분 내외의 숏폼 영상을 넘기고 있노라면 20분 내외의 유튜브 영상도 길다고 느껴진다. 지구 반대편에서 벌어지는 소식을 듣는 건 어려운 일이 아니며 노동세계 또한 완벽하게 변화했다. 사람들과 관계 맺는 건 어떠한가. 타인의 마음은 나와 같지 않아서 어떤 노력은 번번이 실패로 돌아간다. 선의로 건넨 진심이 난도질 되어 아무렇게나 버려질 때도 있다. 무엇이 옳은지 그른지 이해하기도 전에 새로운 문제가 생겨나고 우왕좌왕하며 갈피를 잡지 못할 때가 부지기수다.
인간이 질서와 체계를 좋아하는 건 그래서일지도 모른다. 우리는 존재하는 것들에 이름을 붙이고 자연법칙을 분석하여 미래를 예측한다. 책상이 뒤죽박죽 상태가 되면 말끔하게 정돈하고 싶은 충동을 느끼고 자신의 의견을 일목요연하게 전달하려고 노력한다. 그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세상은 언제 그랬냐는 듯 다시 무질서로 향한다. 이토록 복잡한 세상은 단 한 순간도 내가 원하는 상태로 있어 주지 않는다.
스토아학파의 대표적 철학자인 에픽테토스는 말했다. “행복에 이르는 길은 단 하나, 자신의 의지로 어쩔 수 없는 것에 대한 걱정을 멈추는 것이다.” 슈테판 클라인은 ‘우리가 운명이라고 불렀던 것들’이라는 저서에서 이렇게 말했다. “복합적인 문제에서는 중요하지 않은 것을 무시하는 것이 종종 성공의 열쇠가 되어준다. 단순한 사고만이 승산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덧붙였다. “모든 문제를 작은 걸음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머리로는 알고 있다. 불필요한 생각을 멈추고 담백하게 살아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그러나 그저 ‘편하게’라는 말로 넘기기에 눈앞의 문제는 호락호락하지 않다. 어떤 일이 다가왔을 때 마냥 초연한 태도를 유지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다. 내가 감히 겪어보지 못한 사건을 경험한 이들도 있다. 걱정을 멈추고 마음을 편하게 가지라는 조언은 어떤 면에서 사치스럽게 여겨지기도 한다.
이렇듯 또다시 마음이 복잡해지면, 내 어깨를 두드리며 ‘복세편살’을 외치던 친구의 얼굴을 떠올린다. 이십 대 초반의 나는 매사가 불안했고 작은 일에도 쉽게 넘어졌다. 선택에 대한 믿음이 부족했고 누군가 내 진심을 곡해할까 전전긍긍했다. 그때의 나는 친구가 뱉은 그 ‘복세편살’이라는 말이 유치하다고 생각했으나 중요한 건 그게 아니었다. 그녀의 말간 얼굴을 떠올리면 나도 모르게 웃음이 난다. 그 담백하고도 다정한 말은 내게로 향하는 분명한 위로였다.
나는 결심한다. 상대의 저의를 파악하는 것보다 상대의 눈동자를 보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자. 어려운 상황에도 밝고 쾌활하게 웃는 사람을 그 모습 자체로 사랑하자. 그러한 시선을 가지는 것이야 말로 ‘복잡한 세상을 편하게 사는’ 방법일지도 모른다. 내일은 편안해지리라고 중얼거리다 보면 생각지 못한 행운이 다가온다고도 믿는다. 알다시피, 세상은 너무나 복잡해서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일들이 자꾸 벌어지니까. 그것이 꼭 불행의 형태로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니까. 우리의 ‘복잡한 세상’이 ‘복(福) 가득한 세상’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