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국 尹대통령 “주최 희망”
한미일 두 번째 정상회의가 내년 한국에서 개최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18일(현지 시각) 미국 캠프 데이비드 정상회의에서 밝힌 ‘3자 정상회의의 최소 연 1회 개최 합의’에 따른 후속 조치다.
윤 대통령은 한미일 정상회의를 마친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다음에는 한국에서 우리 세 정상이 다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20일 오전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한 직후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조 바이든 대통령,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협력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며 “바이든 대통령께서 역사적인 정상회의를 주최해 감사하다”고 적었다. 그러면서 그는 “다음 3국 정상회의를 주최하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미·일 정상회의를 내년 한국에서 개최하는 방안과 관련해 “3국의 일정이나 상황이 있기 때문에 검토해서 확정할 수 있을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한·미·일 공식 회담은 처음이지만, 돌아보면 지난 5월 (일본에서 열린 7국 정상회의에서) 한·미·일 정상회의가 열렸고 (미국에서) 이번에 열렸다”며 다음에는 한국에서 열리는 게 자연스럽다고 했다.
시기는 미지수다. 내년 상반기가 유력하지만 한국 총선(4월)과 미국 대선(11월) 등 각국 국내 정치 일정에 따라 유동적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한미일 정상상회의로 3국 협력의 뼈대가 어느 정도 완성된 만큼, 한중일 정상회의 등 다른 단위 협의체가 가동될 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외교가에서는 중국 정부가 한미일 정상회의 전 3국에 대한 단체 관광 재개를 허용하는 등 변화 조짐을 보이는 것으로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편, 대통령실은 한미일 정상회의 성과에 대해 “3국 회의를 통해 북한의 핵·미사일 대응력을 갖췄는데, 안보를 더 강하게 만들어 가고 있다고 평가한다”고 밝혔다. 이도운 대변인은 “문서를 통해 세 나라가 상호 관계를 국제 사회에 공식 천명한 게 이번이 처음으로서 매우 의미가 크다”며 “국제 사회에 주는 메시지 컸다”고 강조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