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개펄

등록일 2023-08-10 16:02 게재일 2023-08-11 18면
스크랩버튼
윤금초

전라도 막막한 골 땅끝 외딴 섬은

날궂이 바람 불고 우 우 우 바다가 울면


함부로 보이지 않는 신기루로 떠오른단다.

 


세월도 뒷짐 지고 저만큼 물러선 자리


밀물에서 부대껴서, 썰물 북새에 떠밀려서


유배지 무지렁이 땅에 뿌리 뽑힌 질경이다.

 


(중략)

 


먼 데서, 가까이서 덩치 큰 해일 다가서고


외나무 상앗대로 죄구럭 식솔들 거느리는


소금기 쓰라린 생애, 파도타기 목숨을….


“땅끝 외딴 섬”이 있다. 남에게 “함부로 보이지 않는” 이 섬은 “땅에 뿌리 뽑힌 질경이”인 “유배지 무지렁이”의 희망-‘신기루’-으로 ‘두둥실’ 떠오르는 섬이다. 특히 이 섬은 “바람 불고 우 우 우 바다가 울”때 떠오른다. 희망은 고난과 슬픔이 삶을 뒤덮을 때 더욱 절실해지기에. 이 섬이 떠오른다는 것은 어떤 징조이기도 하다. “덩치 큰 해일이 다가서고” 있다는 징조. 이 해일이란 혁명을 가리키는 것 아니겠는가. <문학평론가>

이성혁의 열린 시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