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개혁 등 난제 해결 적임자로<br/>아들 학폭문제 충분한 해명 판단<br/>산자부 장관 등 2~3곳 교체 전망<br/>수석비서관 일부 TK 인사 설도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제 시기가 됐으니 준비는 할 것”이라며 “너무 늦지는 않게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여권 관계자도 “윤 대통령이 이동관 대외협력특별보좌관을 이번주에 방송통신위원장으로 임명할 예정”이라며 “일부 부처 장관도 교체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했다.
현재로서는 이 특별보좌관이 방통위원장 자리로 가는 것이 확실시 된다. 대통령실 내부에서도 공영방송 개혁 등의 난제를 해결할 적임자라는 윤 대통령의 생각에 변함이 없는 데다 아들 학교폭력 문제도 충분히 해명이 이뤄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한상혁 전 방통위원장이 제기한 면직처분 집행정지 신청 항고도 지난 21일 서울 고법에서 기각돼 이 특별보좌관을 임명하기 위한 걸림돌도 사라진 상태다. 한 전 위원장은 잔여 임기가 오는 31일까지로 국회 인사청문회 등을 고려하면 이달 중으로 임명 절차가 끝나야 다음 달 중 새 방통위원장이 임기를 시작할 수 있다.
방통위원장와 함께 윤 대통령이 추가 개각에 나설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집권 2년차를 맞아 통일부 장관을 포함해 장관급 2명과 차관 12명을 교체하며 국정동력 확보에 나선 바 있다.
당시 교체 대상으로 거론됐던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인사 대상에서 빠져 2차 개각 대상자로 거론되고 있다. 여권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 때의 탈원전 정책을 바로 잡아야 하는 등 현안이 많지만 속도가 느리다는 지적이 제기되어 왔다. 산자부 외에 환경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2∼3곳의 장관도 바뀔 가능성이 있다.
반면, 장관이 교체되더라도 직전 개각처럼 규모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큰 규모로 장관 교체를 단행할 경우 인사청문회 등이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환경부의 경우 윤 대통령이 한화진 장관에게 궁평2지하차도 침수사고 등으로 치수(治水) 업무를 제대로 하라고 지시한 상황에서 새 장관을 들이지는 않을 수 있다. 또 환경부는 대통령실 국정과제비서관에서 자리를 옮긴 임상준 차관이 장관을 보좌하고 있다.
내년 총선이 9개월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통령실 내 수석비서관 일부를 교체하는 방안도 검토되고 있다. 총선 출마설이 흘러나오는 강승규 시민사회수석과 김은혜 홍보수석 등이 교체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후임을 물색하는 중인 가운데 대구·경북(TK) 출신 인사가 임명될 것이라는 이야기가 흘러나온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번 임명하면 오랫동안 믿고 맡긴다는 윤 대통령의 생각에는 변함이 없지만, 일부 인사 교체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다음달 한·미·일 정상회담 전에 진용 정비를 마치고, 하반기부터는 본격적으로 국정 운영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차원 아니겠냐”라고 말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