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경찰 32명 검거, 19명 구속<br/>중국 도주 조선족 총책 추적 중<br/>차량·가방 담아다니는 이동식도<br/>도내 피해액 작년 대비 40% 줄어
경북경찰청이 지난해 1월부터 반부패수사대 2대를 위주로 전담팀을 구성, 보이스피싱 범행에 이용되는 중계기를 운영한 일당 32명을 검거, 이 중 19명을 구속하고, 중국으로 도주한 조선족 총책 등 5명을 추적 중이라고 13일 밝혔다.
경북경찰청에 따르면 이들은 중국 등 해외 보이스피싱 조직과 공모한 후 전화번호 변작용 심박스, 휴대전화, 타인 명의 유심, 라우터 등을 이용해 중국 등 해외에서 발신되는 070 전화를 국내 010 휴대전화 번호로 바꿔주는 이른바 중계기를 운영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이들은 경찰의 추적이나 단속을 피하기 위해 인적이 드문 야산, 하천의 갈대밭이나 다세대 주택, 원룸 등에 ‘고정형 중계기’를 설치하거나, 직접 차량 또는 가방에 담아 ‘이동형 중계기’를 운영한 것으로 확인됐다.
경찰 조사 결과 구속된 A씨(조선족)는 중국으로 도주한 총책 B씨(조선족)의 지시를 받고 지난해 1월쯤 영천시와 영덕군 야산에 고정형 중계기를 설치했으며, 모집책 및 유통책 C씨 등 3명은 국 상선과 공모해 중계기 관리자들을 모집하고 범행에 이용되는 중계기와 유심을 공급한 혐의다.
경찰은 CCTV 수사, 통신 수사 등을 활용해 조선족 A씨를 검거하고, 중국으로 출국한 B씨를 인터폴에 공조수사를 요청했으며, 범행에 이용된 휴대전화 501대, 593회선의 심박스 27대, 유심 1천165개를 압수해 1천94개의 보이스피싱 범행에 이용되는 전화번호를 차단했다.
경찰 관계자는 “이번 보이스피싱 조직원 검거로 현재 경북 도내 보이스피싱 발생건수와 피해액이 지난해 대비 약 40%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앞으로도 통신회사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보이스피싱 범행의 핵심 수단인 전화번호 변작 중계기를 지속적으로 단속해 보이스피싱 범죄 방지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피현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