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세와 주정 등 재료비 상승을 이유로 출고가 인상을 고려하던 소주업계가 소주값 인상은 없던 일로 백지화했다. 업계의 소주값 인상 움직임에 정부가 실태조사 카드를 꺼내면서 소주값 인상을 사실상 압박했기 때문이다.
최근 정부가 은행 금리에 이어 통신비, 소주값까지 압박을 가하는 강공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고물가 흐름이 좀처럼 잡히지 않자 정부가 시장에 개입하려는 강수로 풀이된다. 시장경제에 맡겨야 할 가격을 정부가 개입하면서 거부감도 있지만 한편으로 정부 고민도 이해될 법도 하다.
작년 경우 고물가로 실질소득이 마이너스로 넘어갔다. 연초 들어서는 난방비 폭탄까지 가세하면서 민심이 흉흉해 진퇴양난에 빠진 정부로서는 인위적인 통제 수단이 필요했을 것으로 짐작이 간다.
특히 서민의 술 소주가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대단하다. 소주값이 일반식당에서 한 병당 6천원까지 오를 것이란 관측 보도가 나오자 각종 매체에는 다양한 내용의 댓글이 달리기 시작했다.
“이제 소주 한잔 사달라는 말도 쉽지 않겠네”, “집에서 마셔라”, “삼겹살에 냉수를 마셔야 하나” 등 소주값 인상에 대한 부정적 댓글이 주류를 이뤘다.
서민이나 봉급자가 스트레스를 푸는 데 가장 친근한 소주값 인상에 정부가 민감 반응을 한 것도 이런 이유다. 그러나 외적 요인에 의한 가격 인상이 정부 개입으로 진정될 지는 알 수 없다. 서울에서는 소주 한 병 값이 6천원하는 곳이 등장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소주가 서민의 술로 불리는 이유는 맛이 있어서도 아니고 향이 좋아서도 아니다. 단지 저렴하기 때문이다.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가 고통을 분담할 때 소주도 서민 술로 우리 곁에 머물게 된다.
/우정구(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