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대구경북 신공항 연계 항공물류산업 밑그림 나왔다

이창훈기자
등록일 2023-02-01 19:49 게재일 2023-02-02 5면
스크랩버튼
경북도, 스마트 콜드체인 물류센터 등 핵심 25개 권역별 도출<br/>생산유발 1조7천억·부가가치 6천974억·취업 10만7천명 추산 
경북도는 군위·의성에 추진중인 대구경북 신공항과 연계한 물류산업 육성 밑그림을 내놨다.

1일 경북도에 따르면 항공 물류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용역에서 지역특화산업, 고부가가치 전환산업, 미래 신규산업 등 3대 분야 핵심사업 25개를 권역별로 도출했다.

우선 공항권역인 군위·의성에 물류단지 및 통합물류센터, 바이오의약품 공급센터, 농식품 스마트 콜드체인 물류센터, 면세물품 전용 통합 물류센터를 구축한다. 구미에는 공동물류센터, 상용화주터미널 및 농식품 푸드테크 물류센터를 구축하고, 김천(포도)·고령(딸기)·영천(포도)에는 디지털 농식품 수출전문 물류센터를 만든다.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생산유발액 1조7천151억 원, 부가가치유발액 6천974억 원, 취업자수 10만7천명으로 분석됐다.

신공항이 경쟁력을 가지기 위해 필수적인 자유무역지역 지정은 우선 구미 국가5산업단지와 군위·의성 물류단지를 자유무역지역으로 지정하고 향후 물동량 확보 시 신공항을 지정하는 전략을 내놓았다.

아울러 공항과 지역경제 연결, 공항수익의 지역 환원을 위한 지자체의 공항운영 참여 확대 방안도 제시됐다.

더불어, 경북도는 항공물류산업 육성전략 실행계획도 올해 추진할 예정이다.

도는 지난달 31일 ‘경상북도 항공물류산업 육성 기본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했다.

이번 용역은 경북도 항공화물 수요 분석 및 전망, 해외공항 벤치마킹, 항공물류 핵심 연관산업 분석, 이해관계자 및 SWOT 분석 등을 통해 항공물류산업의 특성에 부합하는 △지역특화산업 △고부가가치 전환산업 △미래신규산업 등 3대 추진분야별 중점과제를 권역별로 연계해 제안했다.

물동량 분석은 한국무역통계진흥원의 수출입통계연보를 활용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전체 항공물동량 내 대구경북이 차지하는 비중은 수출의 경우 8.7%(5만7천308t)로 대구경북에서 발생하는 항공화물 수요가 결코 적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대구공항 화물처리 비중이 0.1%로 극히 저조한 것과 달리, 경북도의 주력산업인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자동차부품 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항공화물이 상당한 것으로 분석됐다.

김학홍 행정부지사는 “신공항과 연계한 항공 MRO클러스터, 한국항공 교육원 건립, 푸드밸리, 문화·관광 비즈니스 배후단지 조성 등 공항 배후경제권을 조성하고 연관 산업을 육성해 신공항을 지역 발전 원동력으로 키우겠다”고 말했다.

/이창훈기자 myway@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