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인 거장 파보 예르비가 도이치캄머필하모닉을 이끌고 내한했다. 바이올리니스트 클라라 주미 강이 협연자로 함께 섰다. 12월 13일 경기아트센터, 12월 15일 서울예술의전당에서 공연을 관람했다. 2022년 나의 마지막 클래식, 30대의 마지막 음악이었다.
1부에서 도이치캄머필과 클라라 주미 강은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 61번을 협연했다. 그런데 늘 강렬하던 강주미의 광휘가 전처럼 빛나지 않았다. 무대에 입장할 때 표정은 밝고, 몸짓은 풍부하며, 소리는 깊고 섬세했다. 그런데 빛만 차분해졌다.
일부러 빛을 줄인 게 아닐까. 클래식 연주자의 이데아는, 자신의 천재성은 사라지고, 작곡가의 위대함만 나타나는 순간일 것이다. 베토벤 바이올린 협주곡 D장조는 바이올리니스트의 화려한 기교보다 전체적인 조화와 서정성을 강조한 작품이다. 베토벤 이후 비르투오소 시대에 카덴차가 만들어져 붙었다고 한다. 모든 예술작품은 완성되는 순간, 소유권이 창작자에서 향유자로 이전되므로 베토벤 역시 불가침의 신화는 아니다. 새로운 해석과 파격이 허용되는 것이 클래식의 역설적인 매력이다. 하지만 연주자가 작곡가 위에 자신을 올려두려 할 때 해석은 탐욕이 되고, 원작의 가치는 훼손된다.
‘나’를 지우고 ‘베토벤’을 부조(浮彫)시키는 것. 요하임, 크라이슬러, 이자이 등 위대한 비르투오소들에 의해 카덴차가 붙으며 새로운 해석들이 추가된 곡을 연주하면서도 강주미는 1806년 베토벤이 소망한 ‘조화’를 완성하기 위해 스스로 빛을 줄였다. 그러고 보니 무대 앞이 아닌 오케스트라 안으로 들어가 연주하고 있었다. 현란한 카덴차 중에도 빛은 은은해서 세거나 튀지 않았다.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1악장 중반 여리디여린 피아니시시모로 총천연색 같이 선명한 음을 내면서 깊은 비브라토까지 아우르며 투티와 합해지는 순간이었다.
발레리는 “수단 가운데 가장 손쉬운 것은 강도(剛度)다. 왜냐하면 다른 말보다 강한 말을 쓰는 데 더 많은 힘이 필요한 건 아니니까. 피아노보다 투티나 포르티시모를 쓰는 데, 정원보다 우주를 쓰는 데 더 많은 힘이 드는 건 아니니까”라고 했다.
모두들 크게 외치고, 큰소리로 말하는 시대다. 강하고 센 것들만 살아남는 세상이다. 큰 나무들로 울창한 숲에서 풀잎이 바람에 흔들리는 소리를 들어본 적 있나? 캄캄한 그늘에서 침묵과 입 맞추는 작은 빛을 본 적 있나? 강주미의 연주에서 나는 작고 섬세한 것의 힘을 느꼈다. 어깨와 등의 잔근육들마저, 금빛 드레스의 주름들마저 모두 작은 것, 여린 것을 향해 뻗어가고 있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세상은 우리가 모르는 곳에서 아름답고, 연약한 것들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우주를 이루는 중이다. 나는 가장 여린 음에서 가장 큰 마음을 들었다. 그것은 베토벤 원본의 위대함, 그 조화로움에 대한 존경일 것이다.
도이치캄머필은 챔버오케스트라다. 교향악과 실내악의 중간 형태라 할 만큼 몸피가 작다. 대형 오케스트라의 절반 정도인 40여 명이 무대에 올랐다. 파보 예르비의 악단 구성 역시 작고 섬세한 힘을 지향하는 듯하다. 이들의 연주에서 나는 어떤 다정함을 느꼈다. 연못에서 물고기를 옮겨올 때 물고기만 꺼내는 게 아니라 물과 부들과 이끼와 연잎과 소금쟁이와 돌까지 함께 ‘떠’ 오는, 그런 류의 다정함이다. 마지막 앵콜인 시벨리우스 ‘축제의 안단테’에는 세상을 둥글게 감싸 안는 숭고하고 선한 힘이 있었다. 현악 파트만으로도 대형 오케스트라의 짙고 웅장한 울림을 만들어냈다. 그 울림을 나는 ‘위로’라고 부르고 싶다.
“높은 가지를 흔드는 매미소리에 묻혀/ 내 울음 아직은 노래 아니다/ 차가운 바닥 위에 토하는 울음,/ 풀잎 없고 이슬 한 방울 내리지 않는/ 지하도 콘크리트벽 좁은 틈에서/ 숨막힐 듯, 그러나 나 여기 살아 있다/ 지금은 매미 떼가 하늘을 찌르는 시절/ 그 소리 걷히고 맑은 가을이/ 어린 풀숲 위에 내려와 뒤척이기도 하고/ 계단을 타고 이 땅 밑까지 내려오는 날/ 발길에 눌려 우는 내 울음도/ 누군가의 가슴에 실려 가는 노래일 수 있을까” (나희덕, ‘귀뚜라미’)
세상이 온통 하얀 별천지다. 가와바타 야스나리를 패러디하자면, 음악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설국이었다. 새해에도 음악은 계속 흐를 것이다. 우리들의 마음도 그럴 것이다. 작고 연약한 것들을 향해, 흰빛이 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