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안동댐 상류 정밀분석… “중금속 불검출”

이곤영기자
등록일 2022-12-05 19:59 게재일 2022-12-06 4면
스크랩버튼
대구시, 수질 안전… 검사결과 양호
대구시 상수도사업본부 수질연구소는 안동댐 상류지역 원수를 정밀 분석한 결과 매곡원수에 비해 매우 양호한 수준이라고 5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모 언론사의 ‘안동댐 상류지역 수은 메기 검출’ 보도와 관련한 것으로 안동댐 상류지역 3곳인 도산서원, 서부선착장, 주진교의 원수를 수도법과 상수원관리규칙에 따라 총 38항목을 분석했으며, 분석방법은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실시했다.

수질검사 결과, 유기물질의 수질지표인 총유기탄소(TOC)는 도산서원이 2.7mg/L로 생활환경기준 Ⅰb등급인 ‘좋음’ 수준으로 나타났다.

서부선착장과 주진교는 3.7mg/L와 3.5mg/L로 생활환경기준 Ⅱ등급으로 지난 8월에 조사된 안동댐 수질(3.4 mg/L)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매곡원수(Ⅳ등급, 5.2 mg/L)에 비해 매우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기에서 검출된 수은(Hg)을 포함한 카드뮴(Cd), 비소(As), 납(Pb) 등 중금속류 6항목은 모든 지점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며, 철(Fe)과 망간(Mn)은 미량 검출됐다.

안동댐 상류 도산서원과 서부선착장의 합류지점인 주진교에서 검출된 철과 망간의 농도는 매곡원수의 6%와 14% 정도로 낮은 수준이었다.

모 언론사의 안동댐 상류에서 메기 등 일부 어류에서 수은(Hg)이 검출되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메기, 붕어, 잉어, 누치 등의 담수어류는 진흙 바닥 흙을 통째로 삼켰다 뱉는 포식(捕食) 특성과 관련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안동댐 퇴적물의 경우 환경부가 2021년에 실시한 중금속 검사 결과 수은(Hg) 0.133~0.188 mg/kg, 카드뮴(Cd) 5.21~8.30 mg/kg, 비소(As) 48.0~78.8 mg/kg, 납(Pb) 62.1~71.1 mg/kg 등으로 검출된 바 있다.

홍준표 대구시장은 “지난 8월 안동댐 중심부 조사에 이어 이번 상류지역 조사에서도 모두 수질 안전성이 확인됐다”며 “맑은물 하이웨이 사업을 통해 시민들이 안심하고 깨끗한 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곤영기자lgy1964@kbmaeil.com

사회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