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은 SF로 통한다. 현대의 SF 작가들이 오늘 발명하는 것들을 당신과 나는 내일 실현할 것이다.”
무려 50년 전, 영국의 SF 소설가이자 역사가인 제임스 그레이엄 밸러드가 한 말이다.
드론택시, 플라잉카, 자율주행차 등 SF 작가들이 상상하고, 수많은 영화로 나왔던 장면들이 이제 현실로 만날 날이 머지않았다.
그 현실에 한 발 다가간 날이 최근 있었다. 동구청이 주관한 공항후적지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렸기 때문이다.
‘미래모빌리티와 첨단산업이 융합된 스마트도시’란 주제로 열린 이날 토론회에는 국내 최고의 도시계획과 미래모빌리티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주제 발표와 토론을 듣는 내내 머릿속으로 상상을 해보았다.
드론 택시로 이동하는 시민들, 버티포트(Vertiport)라고 불리는 UAM(Urban Air Mobility: 도심항공교통)의 정류장에서 하늘로 날 준비를 하는 플라잉카 등 마치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이야기가 우리 동구에서 이뤄질 것이라는 생각을.
‘UAM은 가까운 미래의 이동수단이 될 것이며, 그 중심엔 대구 동구가 있다’, 토론회에서 나온 많은 이야기를 한 마디로 요약하면 이렇다.
어디 상상이나 한 번 해봤을까. 불과 몇 년 전만해도 낙후된 도시, 소음의 도시, 고도제한의 도시였던 곳이 바로 동구였다.
하지만 이제 동구는 내일을 기대하고 있다.
UAM 특화도시로 발돋움 할 준비를 하고 있다. 토론회에서 공항후적지가 UAM 특화도시가 될 수 있는 최적의 입지 조건임이 확인됐다.
특히 공항후적지는 자유로운 도시 설계를 할 수 있다는 것이 큰 장점이다. 고도 설정부터 회랑 설계가 용이하고, 충분한 서비스 인프라를 반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 마디로 공항후적지는 계획된 UAM 특화도시로 건설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앞으로 공항후적지는 UAM이 결합된 친환경 글로벌 수변도시로 거듭나 대구를 넘어 대한민국의 대변혁을 이끌 것이다.
한편 이날 토론회에서는 공항후적지 개발에 대한 동구 주민들의 기대가 매우 크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동구청에 실시한 공항후적지 개발 구민설문조사에서 응답자 중 93.6%가 ‘공항후적지 개발이 동구발전에 기여할 것이다’고 답한 것. 인상 깊었던 점은 공항후적지 개발을 통해 동구에 계속 거주할 의향을 묻는 질문에도 95.7%가 긍정적으로 대답했다. 공항후적지 개발을 반드시 성공해야 하는 이유기도 하다.
과제도 확인 할 수 있었다.
응답자 중 40.3%가 다양한 첨단산업이 어우러진 중견 기업도시 조성을 통한 경제 활성화를 해야 한다고 답했으며, 34.9%는 국내외 대기업 1∼2개 중심으로 선택과 집중을 꼽기도 했다.
즉 아파트 위주의 공동주택이 아닌 첨단산업을 통한 기업 유치로 일자리를 만들라는 게 동구 주민들의 생각이다. 또 사업의 성공을 위해서는 특별법 제정을 통한 국가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도 답했다.
이제 시작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나온 전문가들의 의견 그리고 설문조사를 통해 나타난 주민들의 생각을 모으고 모아 공항후적지 개발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 무엇보다 연내 신공항 특별법 역시 통과되어야 한다.
앞으로 대구 동구청은 공항후적지 개발과 관련해 주민들의 생각을 묻는 자리를 더 많이 만들 생각이다.
특히 공항후적지 인프라 구성에 대해 ‘테마가 있는 도심 숲, 수변공간 조성’(38.9%), ‘대규모 복합쇼핑몰’(29.1%), ‘세계적인 테마파크 유치’(17.8%) 등 의견이 다양한 만큼 주민들이 원하는 수변공간의 모습은 무엇인지, 원하는 쇼핑몰과 세계적인 테마파크는 어떤 것이 있는지 등 지속적으로 들어볼 생각이다.
토론회에 참여한 한 주민은 나에게 “공항이 간다는 말을 들은 게 10년도 넘었다. 가지 못할 거라는 말도 많이 들었다. 하지만 토론회를 보니 이제 공항이 가는 게 조금 실감이 난다”고 말씀해 주셨다.
주민들의 기대가 크다.
소음과 고도제한 등으로 수십년 고통을 받아온 우리 주민들을 위해서라도 성공적인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과 공항후적지 개발에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동구 주민 모두와 함께 무한한 가능성이 확신이 되고, 상상이 곧 현실이 되는 공항후적지를 반드시 만들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