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남구는 예전부터 앞산이라는 천혜의 자연환경과 함께 살기 좋은 부자 도시로 명성이 자자했다.
“대구에서 소문난 부자는 다 남구에 산다”라고 할 정도로 앞산 아래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즐비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급변하는 산업 구조에 적응하지 못한 탓일까. 도심의 노후화로 인한 인구 감소 및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과거 남구의 화려한 명성은 점차로 빛이 바래고 설상가상 젊은이들의 이탈로 점점 활기를 잃어갔다.
4년 전, 구청장으로 임기를 시작할 무렵, 우리 남구는 더 이상 지체할 수 없는 변화의 기로에 서 있었다. 이 모든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직 뼈를 깎는 혁신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앞산 정상에서 남구를 내려다보며 굳게 다짐했다. 우리 남구의 명성을 되찾고 다시 활기찬 명품도시로 만들어 보겠다고. 그날부터 변화하는 남구를 위한 첫걸음이 시작됐다.
먼저, ‘왜 남구에 젊은이들이 살지 않을까’를 고민했다. 무엇보다 지하철 1호선과 3호선이 인접해 편리한 교통환경으로 도심의 접근성도 좋고, 지역 내에 대학병원이 두 곳이나 있으며, 앞으로는 맑은 신천이 흐르고 뒤로는 대구시민의 휴식처인 앞산이 품어주니,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는 살기 좋은 남구인데 말이다.
이유는 생각보다 간단했다. 바로 노후화된 주거환경이었다. 그래서 가장 먼저 남구의 노후화된 주거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재개발·재건축을 중점적으로 추진했다.
그 결과, 남구는 4년 만에 깜짝 놀랄 정도로 상전벽해(桑田碧海)했다. 신천과 앞산을 바라보는 멋진 조망권을 가진 새로운 주거환경에 반한 젊은이들이 점차 우리 남구로 찾아들었다. 어르신들로만 가득 찼던 도심에 드디어 젊은이와 아이들의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한 것이다.
남구에 찾아온 이 희망을 바탕으로 ‘앞으로 구청장으로서 무엇을 해야 할까’ 많은 고민 끝에 낸 답은 바로, 남구에 활력을 더해 줄 앞산을 중심으로 한 문화관광사업의 완성이다.
앞산은 대구 도심에 위치, 접근성이 좋고, 산책로와 등산로가 잘 갖춰져 있어 대구시민들이 즐겨 찾는 명소이기에 이곳의 개발은 상징적이다.
그래서 나는 지난 4년 동안 남구의 자산인 앞산을 중심으로 앞산해넘이전망대와 앞산빨래터공원 및 앞산하늘다리 조성으로 ‘집 가까이에서 즐길 수 있는 문화관광지 조성’의 초석을 다졌다.
제일 먼저 조성된 일몰 시간의 앞산해넘이 전망대는 붉은 노을이 황홀한 장관이다. 전국적으로 유명한 해맞이 전망대는 많지만 도심에서 일몰을 감상하는 해넘이 전망대는 드물어서 그런지 입소문을 타면서 아름다운 일몰과 함께 대구의 야경을 감상하려는 전국 각지의 관광객들이 모이고 있다.
또한, 앞산해넘이전망대를 잇는 앞산 하늘다리는 앞산순환도로를 가로지르는 첫 경관 교량으로, 해넘이 전망대에 이어 또 하나의 야간 경관 명소가 되었다. 교량 중앙에 설치한 하트 모양의 조형물은 연인은 물론 소중한 이들이 서로의 마음을 전하기에 좋은 장소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앞산해넘이전망대 아래에 있는 앞산빨래터공원에는 관광객의 편의 증진을 위해 지하에 89면의 공영주차장을 조성하고, 지상에는 보기만 해도 가슴이 뻥 뚫리는 벽천분수와 공연 무대가 딸린 2천300㎡ 규모의 공원을 새롭게 단장해 앞산 해넘이 전망대, 앞산 하늘다리와 함께 앞산테마공원의 중심지로 급부상했다.
그 덕분인지, 요즘 주말에 앞산으로 산책을 나가 보면 앞산 일대를 찾는 젊은이들이 부쩍 많이 늘었다. 젊은 연인들이 앞산하늘다리를 배경으로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기도 하고, 앞산빨래터공원에서 반려동물과 산책을 하는 이들로 북적이면서 자연스럽게 이 일대에 유명 커피체인점과 음식점들이 하나, 둘 들어서고 있다.
이렇게 앞산을 중심으로 앞산빨래터공원과 앞산해넘이전망대, 앞산 하늘다리 그리고 명품 도심형 캠핑장까지 전국 최고의 관광 테마파크가 조성된 것이다.
앞으로의 4년도 남구 구석구석에 잠재된 관광자원을 활성화해 남구민들에게는 편안한 힐링 휴식처로, 남구를 찾는 관광객들에게는 명품 문화 관광 도시로 거듭나 지역경제에도 활력을 불어넣어 주민이 행복한 활기찬 도시, 명품 남구로 다시 한번 도약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