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개 부처·10개 공공기관 참여<br/>영국 등 8개국 지원 공관 지정
정부가 원전 수출 생태계 복원과 해외 원전 수주 지원을 위해 민관 역량을 총결집한 ‘원전수출전략 추진위원회’를 출범시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8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 본사에서 원전수출전략 추진위 출범식을 갖고 1차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추진위는 기획재정부·외교부·국토교통부 등 9개 관계 부처와 한국전력·한국수력원자력·수출입은행 등 10개 공공기관, 무역협회 등 9개 민간 기관·전문가를 포함해 총 30여개 원전 유관 기관으로 구성됐다.
추진위는 2030년까지 원전 발전 비중을 30% 이상으로 확대하겠다는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 따라 원전 산업 생태계 복원을 위해 연내에 1천306억원 규모의 긴급 일감을 포함해 1조원 이상의 일감을 원전 협력업체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또 원전 수주 국가별 여건과 특성에 따라 ‘맞춤형’ 수주 활동을 펼치기 위해 원전 수출 유형과 국가간 협력 이슈, 금융·법률 등 주요 의제별로 각 전담 기관이 중심이 돼 수출 전략을 마련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원전 산업과 금융·수출 당국과의 취약해진 연결 고리를 강화하기 위해 원전 기업이 금융 등의 애로를 상담할 수 있는 ‘원전기업지원센터’ 설치도 검토한다.
이와 함께 추진위는 현지 공관과 유관 기관 등으로 이뤄진 ‘원전수출협의체’를 구성해 원자력 세미나·원전산업 로드쇼 등을 통해 현지 홍보를 추진하고, 원전 관련 외교 일정을 체계적으로 기획·관리하며 전략적인 원전 세일즈 외교를 지원할 방침이다.
이밖에 원전 부품 발주 국가에 대한 맞춤형 입찰 정보 시스템을 가동하는 한편 글로벌 인증과 벤더 등록을 위한 컨설팅 지원도 강화한다.
추진위는 또 원전 수출 대상국과의 네트워크 구축·강화 및 수주 정보 파악, 한국 원전 기술 홍보 등을 위해 체코·폴란드·사우디·필리핀·영국 등 재외공관 8개를 원전 수출 지원 공관으로 지정해 현지 소통 체계를 강화하기로 했다.
/박형남기자 7122love@kbmae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