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퇴적공간, 종로3가

등록일 2022-06-28 17:13 게재일 2022-06-29 17면
스크랩버튼
송해를 추모하는 현수막이 내걸린 서울 종로 거리.

종로3가 유진식당에서 냉면과 수육에 막걸리 마셨다. 종로는 늘 정겹고 애틋한 곳이다. 종로3가역 5번출구 ‘송해길’ 송해 선생 흉상 앞에 분향소가 설치돼 있었다. 눈길을 끄는 현수막이 보였다. “송해 선생님, 안녕히 가십시오. 함께여서 즐거웠습니다. ㅡ종로 이웃 성소수자 일동” 송해 선생은 퀴어 축제를 옹호하는 등 생전 성소수자들을 편견 없이 환대했다.

‘이웃’이라는 단어 앞에 먹먹했다. 종로3가는 과거부터 성소수자들이 그들만의 커뮤니티를 형성한 곳이다. 생산력 없는 노인들, 장애인들도 종로3가에 모여 별 일 없이 하루를 보낸다. 해거름 무렵 나이 든 손님들이 노상 테이블에 앉기 시작했다. ‘퇴적공간’의 저자 오근재는 탑골공원을 비롯한 종로3가 일대를 사회 중심에서 밀려난 아브젝트들의 집적지라고 했다. 하루 3천여 명의 노인들이 모여드는데, 가정이라는 집단에서 1차 추방을 당하고, 사회적 변화로부터 2차 추방을 당한 이들이라고 덧붙였다. 추방당해 경계 밖으로 밀려난 이들은 우리가 잃어버린 ‘이웃’들이다.

어느 장소에 오래 다니다보면 장소와 사람이 한 몸이 되는 느낌이다. 장소가 사람에게 스며든다. 한 곳에 오래 머무는 이는 장소를 사랑하는 사람이다. “장소애라는 것은 말 그대로 장소에 대한 사랑이다. 쉽게 말하자면 장소와 살 부비며 사는 동안 정분이 나는 것이다. 마틴 부버의 말을 빌리자면, ‘나’와 장소가 ‘나-당신’의 관계가 되는 것, 무의식과 실존 안에서 주체와 장소가 하나 되는 것”(장석주, ‘장소의 탄생’)이다. 종로3가는 한국 도시 문명이 통과해온 사회·문화적 맥락을 극적으로 수록해온 장소로서 쇠락과 번영이 공존하는 ‘서울’을 대변한다. 종로3가에 모여드는 사람들은 번영보다는 주로 쇠락을 살아내는 이들이다. 낮술의 흥취가 즐겁지만, 마음 한 구석이 쓸쓸해지는 이유다.

종로에서 조금만 올라가면 돈암동이다. 1989년 2월 18일, 돈암동 세입자대책위 부위원장이던 철거민 정상율은 세입자에게 행패를 부리는 집주인을 말리러 갔다가 집주인이 휘두른 칼에 가슴을 찔려 사망했다. 그는 돈암2동 606-377번지에 살던 소시민이었다. 이 죽음은 재개발 시대 도시 빈민들의 고통을 증언하는 상징적 사건이다. 이듬해 봄, 돈암동 철거민들의 오랜 아픔과 눈물이 마침내 영구임대주택 건립이라는 결실을 맺었다. 그날 달동네에서는 잔치가 열려 돼지 삶고 막걸리 나눠 마시며 춤추고 노래했다. 그 후 30년이 지나 돈암동에는 근사한 아파트 단지가 들어섰다. 김광섭이 ‘성북동 비둘기’에서 묘사한 “새벽부터 돌 깨는 산울림”이 울려 퍼지던 “산1번지 채석장”이 지금 아파트가 들어선 자리다. 재개발 시대는 끝났지만 30여 년 전 정상율의 노제를 지낸 흥천사 입구에는 천원 동냥하는 노숙인들이 있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이병철 문학평론가이자 시인. 낚시와 야구 등 활동적인 스포츠도 좋아하며, 대학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고 있다.

청계천 버들다리 전태일 열사 동상 앞에도 두터운 점퍼를 입은 채 바닥에 누워 잠든 노숙인들이 늘 있다. 무관심과 소외의 그늘이다. 이번에 성소수자들이 내건 송해 선생 추모 현수막이 뉴스에 보도됐는데, 혐오, 분리, 차별의 댓글들을 읽는 게 고통스러웠다. 한편 종로를 대표하는 노포인 ‘을지면옥’이 이제 헐린다고 한다. 다른 곳으로 이전해 계속 장사하겠지만, 오래된 건물이 주는 아늑함과 곰살맞은 세월의 숨결은 다시 만날 수 없을 것이다. 그 뉴스 댓글에도 흉물이니 슬럼화니 알박기니 하는 천박한 자본논리들만 판친다. 을지로 노가리골목의 원조집인 을지OB베어는 두 달 전 강제집행으로 철거됐다. 옆 가게인 만선호프가 건물을 매입해 쫓아낸 것이다. 이제 골목에는 만선호프 뿐이다. 그런 식으로 확장한 만선호프만 10개다. 좋은가? 미친 짓이다.

한국 사회는 물질적 풍요를 이루었으나 사람들의 욕망은 점점 획일화되어 간다. 자본화된 욕망은 밀려난 이들, 약자와 소수자들, 오래된 것들, 이질적 타자를 품지 못한다. 추억과 낭만들이, 이웃들의 삶이 여기저기 철거되는 중이다. 유진식당에서 낮술 마시고 일어나는데, 연둣빛 정장을 멋지게 차려 입은 어르신께서 아무 이유 없이 자판기 커피를 뽑아주셨다. 늙고, 낡고, 병들고, 촌스럽고, 조금은 지저분하고, 싸구려지만, 생면부지의 타인에게도 마음을 여는 이웃들이 종로3가에 있다. 이때 종로3가는 대명사다. 사람과 장소가 한 몸이 되어버린, 사랑하는 그곳을 나는 잃고 싶지 않다.

2030, 우리가 만난 세상 기사리스트

더보기
스크랩버튼